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일본 철강산업의 탄소중립화 전략

  • 등록일2022-02-09
  • 조회수3362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1-28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탄소중립#산업연구원#일본 철강산업
  • 첨부파일


일본 철강산업의 탄소중립화 전략


◈목차


Ⅰ. 서론

Ⅱ. 탄소중립 실현과 철강산업의 역할

Ⅲ. 일본 철강산업의 탄소중립화 전략과 과제

Ⅳ. 한·일 철강산업의 탄소중립화 전략 비교와 시사점




◈본문


Ⅰ. 서론

주지하다시피 요즘 글로벌 이슈로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두 가지 어젠다는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과 탄소중립화 이슈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이슈는 일정부분 겹치기도 한다. 탄소중립화 이슈는 환경문제인 동시에 특정 국가의 핵심산업의 산업경쟁력 문제로서 해당 산업의 존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어젠다로 급부상하고 있다. 
EU는 그린성장전략을강력하게 추진하면서 글로벌 이산화탄소 감축 이슈를 선도하고 있다. 미국은 환경문제에대하여 소극적이었던 트럼프 행정부 이후 등장한 바이든 행정부가 파리협정 복귀 등 탄소중립화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특히 UN기후변화회의인 COP26이 영국 글래스고(2021. 10. 31~11. 12)에서 개최된바 있다.⒧

⑴ 탄소중립화 관련 철강 이외에도 석탄발전소를 완전 철폐하느냐를 놓고 국가별 견해차가 노정되었고, 중국과 인도의 반대와 일본의 소극적 태도로 완전 철폐보다는 삭감 쪽으로 의견을 모은 바 있다.

철강 등 탄소 삭감 곤란 업종에 대하여 브레이크스루(breakthrough) 어젠다를 발족하였다. 특히 철강의 경우 기술혁신, 조달, 기준투자, 횡단적 대책에 초점을 맞추어서 다양한 국제 이니셔티브의 연계를 조정하고 국제협력을 촉진하려고 하고 있다. 한편 G7, G20 등 정상회담에서도 탄소중립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탄소중립화 메가트렌드(<그림 1> 참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은 장기적인 탄소중립화 전략 수립과 로드맵 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0209 동향 일본철강.JPG


우리정부도 2020년 “2050년 탄소중립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각 산업별·부문별로 산·관·학이 협력하여 탄소중립화 달성을 위한 비전설정과 로드맵 등 대응책 마련에 몰두하고 있다. 
작년 12월에는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대전환 비전과 전략(2021.12.10)”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철강은산업 분야에서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CO2를 저감하는 새로운 제철방식을 개발하기도 매우 어렵다. 우리나라는 POSCO를 비롯하여 철강생산의 효율 면에서도 세계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철강산업의 특성상 탄소중립화를 실현하기가 가장 어려운 분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일본철강산업의 탄소중립화 전략을 고찰함으로써 우리정부와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면 본고에서 일본 철강산업의 탄소중립화 과정을 중점적으로 고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세계 철강생산량의 과반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다. 일본은 1990년대에는 조강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으나 2020년 기준으로는 세계 상위 10개사 중 아르셀로미탈(2위), 일본제철(5위), POSCO(6위)를 제외하고 중국기업이 7개사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본 철강산업은 고급강 등 품질 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철생산에서 차지하는 탄소원단위가 가장 낮은 편⑵ 이다. 또한 오래전부터 탄소저감을 위한 차세대 제철방식 개발에 착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부의 종합적인 지원책이나 산관학 협력체제 등에서도 우리나라가 가장 벤치마킹하기 적합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⑵ 2015년 기준 전로강(轉爐鋼)의 1차에너지 원단위(GJ/톤 조강)는 일본을 100으로 할때, 한국 103, 독일 109, 중국 116, 미국 130 등이다(일본 지구환경기술연구기구의 추계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