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21

  • 등록일2022-02-16
  • 조회수330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2-1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헬스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21


◈목차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Higi Health,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Babylon에 피인수
- 영국 NHS England, 디지털 정책의 우선순위를 발표
- 일본,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과제 해결 추진
- 웨어러블 헬스케어, CES 2022에서 선보인 새로운 혁신
- 글로벌 디지털헬스 산업, 미래를 변화시키는 150개 기업
- 글로벌 디지털헬스 산업, ’22년 투자 동향 전망

4대 보건산업
- 미국 FDA, ’21년 승인한 50건의 신규 의약품 목록 발표
- 영국, 여성들의 건강 전략에 대한 정책 보고서 발표
- 유럽 Brugel, mRNA 백신 기술과 공공백신 R&D정책 분석
- 일본, 헬스케어 생태계의 구조변화와 새로운 가치창조 필요
- 미용주사제 시장, 소비자 구매력 확대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
- 치매 치료, 세계적인 연구개발 협력체제 필요
- 바이오제약, ’22년 상반기에 주목할 임상시험 동향
- WEF, 의료 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한 PPP 모범사례 제시




◈본문


디지털 헬스케어


미국 Higi Health,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Babylon에 피인수

■ 영국 런던에 본사가 있는 바빌론헬스(Babylon Health)社는 미국시장을 확대하기 위하여 대형 식료품점이나 약국 등에서 볼 수 있는 건강 측정 키오스크를 제작하는 기업인 히지헬스(Higi Health)社를 인수
- 최종 완료된 Babylon의 Higi 인수는 전략적 투자자의 지위를 얻기 위해 ’20년 5월부터 시작한 3천만 달러 규모의 투자 협상에서 시작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보고서에 따르면 Babylon은 Higi의 나머지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490만 달러의 현금, Babylon의 A등급 390만 보통주, ‘양도제한조건부 주식(Restricted Stock Units)’ 200만주를 Higi 측에 지급
 * 양도제한조건부 주식은 특정 기간에 기업이 제시한 목표를 달성하면 무상으로 지급하는 주식으로, 일종의 성과보상체계
- Babylon은 이번 Higi 인수를 통해 도시 지역에 비해 심장병이나 암, 사고 등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높은 농촌 지역의 만성병 환자들에 대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
[ Mobi Health News, 2022.01.05.; ST AT, 2022.01.06.]
 

영국 NHS England, 디지털 정책의 우선순위를 발표

■ 영국 ‘국민보건서비스잉글랜드(NHS England)’는 ’22~’23 회계연도 기간 동안 NHS에서 추진될 디지털 전환을 포함한 정책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보고서는 진단과 처치 및 치료가 필요한 인구가 늘어나는 상황에 대한 적시 대처 방법 제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대처 방법에는 통합케어 시스템(ICSs)에 기초한 파트너십 구축 등이 포함
- 디지털 정책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팬데믹 기간 중에 습득한 경험을 기초로,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진단 및 치료 모델을 도입’한다는 기조하에 디지털 기술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최대한 사용하도록 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
- 재택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병상’의 개발 및 확대가 NHS의 디지털 전략 중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현재 53개 수준의 가상 병상을 2,500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
[ Digital Health, 2022.01.10.; NHS, 2021.12.24.]
 

일본,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과제 해결 추진

■ 일본은 의료데이터와 인공지능(AI)를 결합한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보장 재정의 적정화’ 실현과 ‘건강수명 연장’이라는 일본의 사회과제 해결방안을 모색
- 일본은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의 고령화로 사회보장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보장비를 구성하는 의료비 추이를 보면 ’09년부터 ’19년에 걸쳐 약 24% 증가
- 최근에는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생활습관과 사회환경 변화로 인한 당뇨 환자 증가가 현안과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의료비 내역을 보면 전체 의료비에서 10대 생활습관병 질병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이며 내역을 보면 당뇨병·인공투석이 과반수를 차지
- 당뇨 합병증 가운데 신장질환은 중증이 되면 신부전으로 인공투석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의료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도 큰 부담이기 때문에 일본정부와 지자체는 당뇨성 신장질환 중증화 예방 프로그램을 개정·강화하고 생활습관병의 중증화 예방사업을 전개
- 글로벌 회계·컨설팅업체인 EY는 이러한 일본정부와 지자체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20년부터 건강검진·의료·간병 관련 공적DB시스템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모델로 인공투석 고위험 환자 예측과 지자체로의 환원을 실시
[ EY, 2022.01.05.; 毎日新聞, 2022.01.05.]
 

웨어러블 헬스케어, CES 2022에서 선보인 새로운 혁신

■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22년 1월 5일부터 7일까지 열린 ‘CES 2022 국제 IT·전자제품 박람회’는 전 세계적으로 총 2,200여개사가 참가하였고, 헬스케어 분야에서 신체의 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기 등 많은 웨어러블 신제품이 공개 
- 건강과 웰빙 기능을 담은 스마트워치의 가용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워치에 혈압, 심박수, 전기심장 심전도(ECG), 생체전기 임피던스, 골격근량, 기초 대사율, 체지방, 체수분, 수면, 코골이 등을 포함한 건강의 여러 생체 인식을 측정하는 센서를 결합하기 시작
- Abbott Laboratories는 당뇨병 환자가 혈당 수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형 웨어러블 센서 및 스마트폰 앱인 FreeStyle Libre 시스템을 선보였으며, Owlet은 부모가 원격으로 영아의 심박수, 산소 수준 및 수면 추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웨어러블을 출시
-리서치 회사 IDC는 ’21년에 전년대비 23% 증가한 5억 4,700만 개의 웨어러블 기기가 판매된 것으로 추정했으며, ’25년에 7억 7,700만 개의 웨어러블 기기가 판매될 것으로 예측
[ Investor’s Business Daily, 2022.01.06.; Health Leaders, 2022.01.0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