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 등록일2022-02-18
  • 조회수416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목차


가. 산업 특성

나. 산업수급 현황
다. 유망분야 및 진출 전략




◈본문


가. 산업 특성

 
□ 시장 동향
 
의료기기 시장 현황
 
일본 의료기기 시장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의 시장이다. 타 업종과 달리 경기 영향을 덜 받는데다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증대되면서 점진적으로 시장이 확대돼 왔다. 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일본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19년 4조 엔을 돌파했다.
 
 * 일본의 의료비 지출은 43조6000억 엔(2019년)으로 3년 연속 최대치를 경신했다. 의료기기 시장은 전체 의료비 중 약 9%를 차지하고 있다.
 

캡쳐1.png


일본의 의료기기는 약 30만 종에 이르는 데, 약기법 체계에서는 치료기기(카테터, 인공관절, 심장 페이스메이커, 주사기 등), 진단기기(내시경, CT, MRI, 혈압계 등), 기타 기기(치과 재료, 수술용 장갑, 콘택트렌즈 등) 등 3개 분야로 구분한다. 의료기기 전체 시장 중(2018년 기준 2조9000억 엔) 치료기기가 59%, 진단기기 20%의 비중을 차지한다(금액 베이스).
 

캡쳐2.png


일본기업의 경쟁력이 강한 진단기기 분야는 해외시장에서도 존재감이 크지만, 기본적인 제품 교체 사이클이 완료돼 향후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 최근 의료기기 제품 교체 주기가 갈수록 길어지면서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매출이 둔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의료기기의 내구성 자체가 향상된 것도 있지만 병원 경영이 압박 받으며 설비투자 억제 차원에서 교체 사이클을 연장한 것이 시정 성장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 10년 전 대비 MRI 교체주기는 +1.3년(10.9년→12.2년), CT 교체주기는 +1.8년(10.1년→11.9년) 증가(JIRA 조사. 2020년)
 
시장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일본 의료기기 메이커는 기존의 제품 판매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한 원스톱 솔루션 판매로 사업 모델을 전환하고 있다. 단순히 제품을 파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사용, 검사, 병상 운영 효율화 서비스에도 대응함으로써 고객사와의 중·장기적 관계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시장규모도 크고 향후 성장 전망도 밝은 치료기기는 수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