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심층분석 6호]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 등록일2022-03-10
- 조회수495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3-07
-
출처
한국바이오산업정보서비스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바이오산업정보서비스#바이오산업#한국바이오협회
- 첨부파일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심층분석 6호]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목차
1. 들어가며
2.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개요
3. 국내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및 전망
4. 국내 바이오산업 연구개발비 현황 및 전망
5.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수출입 현황 및 전망
6. 마치며
◈본문
1. 들어가며
국내바이오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규모는 2011년 6조 3,963억원에서 2020년 17조 4,923억원으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11.8% 증가하였으며, 유관분야인 의료기기 및 의약품 산업의 생산액 또한 각각 13.0%, 4.5% 증가하였다. 2020년의 경우 코로나 19 및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전반적인 산업 활동이 침체된 가운데, 바이오산업은 바이오시밀러 및 체외진단기기 수출 등으로 높은 성과를 도출하였으며, 이 분야는 2021년에도 높은 성장이 예측된다.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지표인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를 통하여 2020년 이후의 산업동향 전망이 가능하지만, 동 조사는 조사기준 시점과 결과공표 시점간 약 1년의 차이발생('21년 기준 결과는 2022년 공표예정)으로 인하여 시의성 측면에서 자료 활용 시 한계가 있으므로 최근 10년간('11~'20)의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5년간('21~'25)의 산업 전망을 예측하고자 한다.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는 '10~'15년(조사대상년도)은 舊 분류체계를 ‘16~’20년은 新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분류체계 개정으로 인한 시계열 단절이 발생하 므로 본 보고서에 수록된 연도별 통계결과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모든 시점의 데이터 를 新 분류체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통계표의 모든 통계 수치는 단위를 억원으로 통일하면서 반올림상의 차이로 인하여 세부항목간의 합과 전체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국내 바이오산업의 인력·연구개발비는 8개 바이오분야별(대분류기준, 의약·화학및에너지·식 품·환경·의료기기·장비및기기·자원·서비스)로 연평균성장률(CAGR)을 적용 및 분석하였고 매출 및 수출입액은 코로나 19 및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의료기기 분야의 폭발적인 성장 등 을 감안하여 전체 분야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2.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개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현황 파악 및 국내 바이오 산업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련 육성 정책 수립과 경제 분석·국제 비교의 근거를 마련하 고자 생명공학기술 관련 활동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체*를 대상으로 매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 제115015호)를 실시하고 있다.
* 생명공학기술 관련 활동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체
· 연구개발단계에 주요기술로 생명공학기술 이용
· 생명공학기술을 제조, 생산, 서비스(연구개발서비스 포함) 과정에 이용
· 연구개발 단계나 생산과정 중 생명공학적 과정에 이용되는 기계, 장비 또는 플랜트 생산
· 위의 제품을 해당국가에서 직접 수입
※ 위의 활동으로 매출이 발생한 기업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추진 중인 기업 역시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