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KISTEP 브리프] 2020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피인용 현황
- 등록일2022-03-11
- 조회수347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2-2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과학기술논문
- 첨부파일
[KISTEP 브리프] 2020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피인용 현황
◈목차
1. 개요
2. 국가별 SCI 논문 발표 현황
3. 한국의 SCI 논문 발표 현황
4. 국가별 SCI 논문 피인용 현황
5. 한국의 분야별 SCI 논문 및 피인용 현황
6. 정리 및 시사점
◈본문
1.개요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은 Clarivate Analytics사의 과학인용색인(SCI,Science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SCI 논문 현황을 분석
• 국가간,분야간 비교에는 Incites(National Comparisons) 데이터베이스*를활용하였으며,한국 상세분석에는 WoS(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 Incites : 국가별,분야별 논문 수와 피인용 통계 자료 산출에 활용한 데이터베이스,22개 표준분야,254개 세부분야 통계 산출에 활용
**WoS: 한국의 분야별,기관별,연구주체별,저널별,지역별 통계 산출에 활용
• 논문 인용(Citation) 분석에서는 JCR(Journal Citation Report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 JCR : 학술지별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IF(lmpact Factor)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임
■ 이번 호에서는 KISTEP0I 최근 발표(2021.11 월)한 과학기술 논문(SCI) 분석연구 보고서의 한국 결과를 중심으로 정리
[출처]: [KISTEP 브리프] 2020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피인용 현황
2. 국가별 SCI 논문 발표 현황
■ 중국은 전년도 1위국(미국)을 추월하여 '20년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국가가 되었으며, 각 국가 논문수 합(3,156,404)의 17.53%(553,233편)를 점유
※ (전년 대비 논문 증가율) 전체 8.03%, 중국 11.96%, 미국 1.71%
■ 전통적인 영어권 국가들보다 아시아 국가들의 전년 대비 논문 증가율이 큰 경향을 나타냄
• 전년 대비 논문 증가율은 사우디 아라비아(38.53%), 이집트(27.27%), 파키스탄(24.42%), 터키(15.86%) 순
■ '20년 논문 발표 상위 10개국의 총 논문 수는 1,947,908편으로 전년 대비 6.46% 증가
※ 상위 10개국의 논문 발표 점유율은 2019년 62.63%에서 2020년 61.71%로 감소
■ 한국은 '20년 12위로 전년도 순위를 유지하였으며, 논문 수는 전년 대비 8.49% 증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
- 정책동향 KISTEP Think 2025,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2025-02-11
- 정책동향 [KISTEP InI Vol.48 / Spring 2024] 「2025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정부R&D 투자의 기본방향 2024-04-25
- 정책동향 2024년 국가 과학기술혁신 및 R&D 발전전략을 위한 'KISTEP Think 2024' 핵심 아젠다 발굴 연구 2024-01-31
- 기술동향 2024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2024-01-29
- 정책동향 [KISTEP InI Vol.47] HAPPY NEW YEAR 2024 -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 추진 배경과 주요 내용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