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350호] 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솔루션의 활용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22-03-18
  • 조회수409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3-02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브리프#디지털#정신건강관리
  • 첨부파일
    • pdf 보건산업브리프 350호_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솔루션의 활용 현황과... (다운로드 21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보건산업브리프 Vol.350호] 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솔루션의 활용 현황과 전망


◈목차

Ⅰ. 코로나19와 정신건강서비스 변화

Ⅱ. 국내·외 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솔루션 현황

Ⅲ. 디지털 정신건강관리의 전망과 준비

 1. 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솔루션 활용 전략

 2.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제공 모델 발굴 및 제공체계 확보 필요




◈본문


Ⅰ. 코로나19와 정신건강서비스 변화


⊙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 이례적인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불안, 비대면 일상변화에 따른 소통 단절 등코로나19의 장기화는 다양한 집단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 두기 등이 진행되는 동안 우리 국민은 우울위험군 비율이 2018년 대비 2021년에 최대 6배 증가하였고, 자살생각 비율도 2018년 대비 최대 3.5배 증가하여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청년층에서 정신건강 문제(불안과 우울 증상)가 크게 증가하여 대책이 필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0318 보건.JPG

0318 보건2.JPG

 
 
⊙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의료이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코로나19 유행 이전에도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치료 및 상담율을 보이는 등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이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다. 

- 이런 결과는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문화적 편견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인식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며, 정신건강서비스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0318 보건3.JPG

 

⊙ 최근 ICT 기술을 접목하여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디지털 정신건강 솔루션은 접근성, 경제성, 차별 노출 감소, 환자 권한 부여, 데이터 기반 피드백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특히, 정신과적 치료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며, 서비스 이용을 적극 독려할 수 있다는 점이 디지털 기반 정신 건강서비스의 장점으로 꼽히고 있어,7) 정신건강관리를 위해 다양한 디지털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적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이런 기술적 시도와 함께 코로나19 대책 차원에서 각국은 정신건강 치료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원격 상담, 원격치료 등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