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동향과 시사점

  • 등록일2022-04-28
  • 조회수347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4-1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보건산업진흥원#디지털 헬스#디지털 전환
  • 첨부파일
    • pdf 보건산업브리프 353호_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디지털 헬스 ... (다운로드 24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동향과 시사점


◈목차


Contents

 I .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의 의미와 중요성
Ⅱ.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동향 및 실태
Ⅲ. 시사점




◈본문


 I .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의 의미와 중요성

⊙ 구글에서 검색되는 정보의 7%는 건강과 관련이 있고, 매일 10억 건 이상의 건강정보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 이런 정보검색량은 코로나 19 유행 이후 더 증가했을 것으로 예측되며, 구글 트렌드를 통해 국가별로 2020년 3-4월 최고 검색량을 기록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방역, 보건, 의료분야 등이 높은 순위로 나타나 전세계적으로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2) 특히, 코로나 유행 시기에 비대면 진료(Telehealth)와 백신 접종 등과 관련해서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은 크게 주목되고 있다.3)4)5)

⊙ 이렇게 전자 자원에서 건강 관련 정보를 찾고, 이해하고, 평가하여 얻은 지식을 활용해 건강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절한 건강행동을 위한 결정에 적용하는 능력을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Digital health literacy)로 정의하고 있고,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는 디지털헬스케어(생태계) 구성 요소 중 하나로 건강 결정의 사회적 요인에 속하고, 건강 격차와 건강 불평등을 영속화시키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어,6) 보건의료서비스의 디지털 혁신을 시도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제시되고 있다.


리터러시.JPG


1) https://www.telegraph.co.uk/technology/2019/03/10/google-sifting-one-billion-health-questions-day/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코로나 19 이후 주요 트렌드 변화. e-세계농업 제3호 p14. 2020.
3) Triana, A. J., Gusdorf, R. E., Shah, K. P., & Horst, S. N. (2020). Technology literacy as a barrier to telehealth during COVID-19. Telemedicine and e-Health, 26(9), 1118-1119.
4) Brørs, G., Norman, C. D., & Norekvål, T. M. (2020). Accelerated importance of eHealth literacy in the COVID-19 outbreak and beyond.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9(6), 458-461.
5) Okan, O., Bollweg, T. M., Berens, E. M., Hurrelmann, K., Bauer, U., & Schaeffer, D. (2020). Coronavirus-related health literacy: A crosssectional study in adults during the COVID-19 infodemic in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5), 5503.
6) https://www.thenationshealth.org/content/51/9/11.2


⊙ 최근 만성질환 등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잠재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는7)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면서, 디지털 정보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은 건강결과에 더욱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 특히,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인터넷/모바일 기술이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응답하고 있어 개인의 건강관리에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영향력이 크고, 우리나라 정보취약계층의 경우, 디지털 정보의 접근성은 크게 높아졌지만 이를 이용하는 역량이나 활용하는 수준은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8)보건의료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접근성 향상이 서비스 전달을 위한 충분한 조건이 아닐 수 있다는점을주의해야할것으로보인다.

⊙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보건의료서비스의 공급자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모든 소비자들이 디지털 헬스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지 않아야 하며, 언제나 그렇지 않은 사용자를 위한 대안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하고 있다.9


 표 1> 비대면 의료 시스템의 형평성 부여를 위한 권고사항

 

• 서비스가 부족한 인구집단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투자한다
• 서비스 접근성과 활용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통계를 생산한다.
• 새로운 기술 배포 시 다양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환자 교육에 중점을 둔다.
• 의료인이 플랫폼에서 다양한 환자와 소통할 수 있는 워크플로를 개발한다.
(출처) Digital health literacy as a social determinant of health. 2021 WEDI conference HIMM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