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한국의 인도네시아산팜유 수입 현황

  • 등록일2022-05-13
  • 조회수509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4-26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바이오협회#인도네시아#팜유
  • 첨부파일


한국의 인도네시아산 팜유 수입 현황

-2021년 기준 인도네시아산 팜유 수입 비중 56.1%, 수입액은 3.7억 달러-

-해바라기씨유는 우크라이나, 대두유는 미국, 올리브유는 스페인이 한국의 최대 수입국-

 

◈목차

◇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 인도네시아, 4월 28일부터 팜유 수출 금지

◇ 한국, 대부분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에서 팜유 수입

◇ 2021년 기준, 팜유 이외의 식물성 오일별 한국의 최대 수입국 현황

 

 

 

 

◈본문

팜유1.JPG


◇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 인도네시아, 4월 28일부터 팜유 수출 금지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해바라기유의 주요 생산국인 우크라아나 공급이 불안함에 따라 대체유인 팜유 가격이 치솟고 전세계 수요가 급증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 4월 22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자국 내 식용 오일 공급 및 가격 
안정화를 위해 4월 28일부터 팜 오일 및 그 원료의 수출을 금지한다고 발표함. -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팜유 생산국이자 수출국으로, 인도네시아 팜유협회(IPO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팜유 생산량은 4,688만 톤이며 제품 수출량은 
3,420만 톤을 기록하였음.

 - 팜유(Palm oil)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기름 중의 하나로, 저렴하고 생산효율이 높아 식품, 화장품 및 바이오디젤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음. 


 ♣ 팜유(palm oil)는 기름야자나무 열매의 과육에서 얻어진 식물성 지방임. 
 ♣ 팜유는 추출법이나 압착법에 의해 얻어지며 상태와 정제했는지에 따라 여러가지 색깔이 있음. 
 ♣ 이들 팜유는 팔미트산과 올레산을 대단히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기름야자나무에서 얻은 팜핵유(palm kernel)와 구별됨. 
 ♣ 팜유는 비누ㆍ양초ㆍ화장품이나 화장용품류의 제조ㆍ윤활유ㆍ용융 주석 도금ㆍ팔미트산 제조 등에 사용하며, 정제한 팜유는 식료품(예: 튀김용 지방과 마가린 제조용)으로도 사용됨.

◇ 한국, 대부분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에서 팜유 수입

○ 우리나라는 팜유를 거의 다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2020년에 중량 기준 5십 8만 7천톤 금액으로는 4억 4백만 달러가 수입되었으며, 2021년에는 6십만 5천톤 6억 6천 1백만 달러가 수입되어 전년대비 중량면에서는 3.1%, 금액면에서 63.6%가 증가하였음.

 - 금년에는 1분기에만 2억 7백만 달러가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 수입액의 51.3%, 2021년 수입액의 31.4%를 규모임.

팜유2.JPG


○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가 최대 팜유 수입국으로 이들 두 개 국가가 국내 팜유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2021년 기준 팜유 수입액 중 56.1%가 인도네시아에서 43.8%가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되었으며, 나머지 국가 수입 비중은 0.1%로 매우 미미한 상황임.

 - 특히, 인도네시아산 팜유는 ‘21년 3.7억불이 수입되어 전년도 2.1억불 대비 1.5억불 증가함.


팜유3.JPG


팜유4.JP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