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연구·개발 투자 현황 - 미국 R&D 중심

  • 등록일2022-06-07
  • 조회수4722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5-18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Global Tech Korea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개발 투자 현황#미국 R&D
  • 첨부파일

글로벌 연구·개발 투자 현황 - 미국 R&D 중심


◈목차

1. 전체 동향

2. 국가별 R&D 투자

3. 연구 인력

4. 연구 결과 출판

5. 특허

6. 결론



◈본문

 

◆ 본 보고서는 미국의 글로벌 경쟁력 현황 파악을 위한 글로벌 및 미국 R&D 관련 혁신 지표의 주요 동향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로 2022년 3월 말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


1. 전체 동향


◆ 글로벌 총 R&D 투자는 1992년 6,720억 달러에서 2020년 2조 1,000억 달러 이상으로 지난 20년 동안 약 3배 증가

* 인플레이션 및 경제 간 가격 차이 고려하였음

[그림 1] 1992년 이후 총 글로벌 R&D 투자 (단위: 십억 달러)


❏ 2020년 글로벌 R&D 투자는 전년 대비 약 650억 달러 증가

❏ 38개 OECD 회원국 이외 국가의 투자가 확대되었다는 점이 주목할만한 사항

 - 1992년에는 OECD 회원국이 대부분의 글로벌 R&D를 담당하였으며, OECD 국가에서 R&D에 투입된 경제 생산량은 1992년 2.0%에서 오늘날 2.5%로 증가

 - 대만과 러시아 경제를 포함하여, 오늘날 비(⾮)OECD 국가 투자의 80% 이상이 중국에서 발생


◆ 비즈니스(산업) 부문은 OECD 국가에서 가장 큰 R&D 투자 자금원으로 2019년 약 9,000억 달러를 제공하여 전체 OECD R&D의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부 자금 조달이 24%, 나머지는 대학, 비영리 단체 및 외국 재원으로 구성

❏ 고등 및 기타 비영리 기관의 R&D 자금 조달은 약 3배 증가했으며, 산업 R&D 자금 조달은 2배 이상, 정부 R&D는 약 50% 증가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권 내 공통된 주제로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정부 자금 지원이 정체된 이후 실질적인 성장이 없는 것으로 보임


2. 국가별 R&D 투자


◆ 글로벌 연평균 성장률

[그림 2] 2000년 이후 글로벌 R&D 투자 연평균 성장률

❏ (중국) 미국이 오랫동안 글로벌 R&D 리더였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성장이 두드러짐

 - 2000년 이후 중국의 공공 및 민간 R&D 투자는 연평균 14.2% 증가하여 한국의 2배, 미국의 4배에 달하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였음

 - 이러한 성장의 결과 중국의 R&D 투자는 2020년에 5,630억 달러에 이르렀고, 이는 미국과 약 1,010억 달러 차이로 양국 격차는 계속해서 좁혀지고 있음

❏ (EU) 팬데믹 기간 중국, 미국의 R&D가 증가한 반면, EU 총 R&D 투자는 감소

 - 이탈리아는 특히 유럽에서 팬데믹의 진원지가 된 첫 번째 국가로 공격적인 봉쇄 조치와 자금 조달 방향이 한동안 과학 산출물을 억제한 것으로 보임

 - 더불어 영국의 EU 탈퇴는 영국 및 EU 과학자들의 자금 및 프로젝트 접근에 상당한 변화 및 혼란을 가져옴


 R&D 집약도: R&D 집약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R&D’로써 경제에서 R&D에 투입된 자원의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내며 혁신 능력 지표를 제공

❏ (R&D 집약도 상위 국가) 이스라엘과 한국은 R&D 집약도가 가장 높은 두 국가로,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 절대 달러로 R&D에 지출하는 비용은 훨씬 적지만 각 경제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과학 혁신에 대한 상대적인 집중도가 더 높음을 나타내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