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칠레 화장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22-06-13
  • 조회수3341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칠레 화장품 시장 동향


◈목차

다수의 화장품 기업이 진출

코로나19로 스킨케어 제품 수요 증가세

칠레 시장에 부는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화장품 바람

피어나는 K-Beauty, 입술화장용 제품과 스킨케어 제품이 성장세

시사점



◈본문

 

│변화하는 칠레 시장, 스킨케어 및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제품 수요 증가

│K-Beauty, 스킨케어 제품을 필두로 성장 중


다수의 화장품 기업이 진출


칠레 제조기반이 비교적 약한 나라로 화장품 시장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칠레에는 L’Oreal, Unilever, Procter & Gamble 등 기업 화장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 브라질 화장품 기업인 Natura Cosmético는 Avon Products를 인수하면서 칠레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HS Code 3304 기준 칠레 내 주요 화장품 수입기업은 아래와 같다.


<칠레 주요 화장품 수입기업>

연번

기업명

본사 소재지

수입액(US$)

1

LOREAL CHILE S.A (LOREAL)

프랑스

49,718,628

2

PROMOTORA DE BELLEZA S.A. (BELCORP)

페루

25,908,924

3

BEIERSDORF CHILE S.A. (NIVEA)

독일

14,463,972

4

SOCIED. DE INVERSIONES DJ SpA (DBS)

칠레

14,413,329

5

NATURA COSMETICOS S.A. (NATURA)

브라질

11,800,786

6

ISDIN CHILE LIMITADA (ISDIN)

스페인

11,151,025

7

COSMETICOS AVON S.A. (AVON)

미국

11,042,148

8

GENOMMA LAB. CHILE S.A. (GENOMMA LAB)

멕시코

9,667,307

9

NU SKIN ENTERPRISES CHILE LTDA (NU SKIN)

미국

8,876,570

주: 2021년 수입액 기준, HS Code 3304 조회
[자료: Checkpoint]


이 중 눈에 띄는 기업은 DBS다. 칠레 화장품 생산 및 유통 기업인 DBS는 2006년 설립 후 다양한 미용 및 스킨케어 제품을 수입하면서 칠레에서 중요한 화장품 매장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DBS는 DBS Beauty Tools, DBS Basics, DBS Cosmetics 등 자체 라인을 만들었으며, 현재 200개 이상의 브랜드를 판매 중이다.


코로나19로 스킨케어 제품 수요 증가세


코로나19는 여타 다른 시장과 마찬가지로 칠레 화장품 시장 트렌드를 변화시켰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사용 등 생활 패턴이 바뀌면서 스킨케어 및 퍼스널 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메이크업과 향수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유로모니터는 칠레 소비자는 가격보다 품질을 선호하여 화장품을 구매할 때 구매하는 제품의 구성과 성분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고 설명하는데, 아래 칠레 주요 스킨케어 제품은 아래와 같다.


<칠레 주요 스킨케어 제품>

CERAVE Loción Hidratante 236 ml | Falabella.com

Cetaphil Crema Hidratante 453g | EcoFarmacias

Bioderma Agua Micelar Sensibio H2O 500 ml | Farmacia Bonnin

ISDIN Fotoprotector Fusion Water Spf50+ 50 Ml | Falabella.com

CeraVe 로션

Cetaphil 로션

Bioderma 리무버

ISDIN 선크림

[자료: CeraVe, Bioderma, Cetaphil, ISDIN 홈페이지]


칠레 시장에 부는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화장품 바람


한편, 칠레 전반적으로 동물 실험을 하지 않거나(cruelty free)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칠레 화장품 시장에 새로운 트렌드가 생겨나고 있다. 칠레 비정부기구인 ‘당신을 보호합니다(Te protejo)’는 비동물실험 화장품에 인증 마크를 부여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 ‘Te protejo’를 포함한 비동물실험 인증 마크를 받은 브랜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Te Protejo’ 인증마크>

<’Te Protejo’ 인증마크>

[자료: Economía Sustentable 홈페이지]


피어나는 K-Beauty, 입술화장용 제품과 스킨케어 제품이 성장세


HS Code 3304 기준 2021년 칠레 화장품 수입액은 3억387만 달러를 기록했다. 칠레는 주로 프랑스, 미국, 중국으로부터 화장품을 수입하며, 이들 3개국으로부터의 화장품 수입액은 전체의 40% 내외를 차지한다. 2021년 칠레의 한국산 화장품 수입 규모는 1,093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3.6%에 해당한다.


<2019~2021년 칠레 화장품 수입동향>
(단위: US$ 천, %)


국가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21/2020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총계

195,782

174,963

303,875

100.00

100.00

100.00

73.68

1

프랑스

28,925

26,614

47,864

14.77

15.21

15.75

79.85

2

미국

32,067

27,779

43,679

16.38

15.88

14.37

57.24

3

중국

24,470

21,920

43,334

12.50

12.53

14.26

97.69

4

콜롬비아

24,054

17,959

29,779

12.29

10.26

9.80

65.82

5

스페인

14,598

11,743

23,956

7.46

6.71

7.88

104.00

6

멕시코

8,851

9,439

19,925

4.52

5.39

6.56

111.09

7

아르헨티나

13,280

13,485

17,603

6.78

7.71

5.79

30.53

8

독일

7,191

7,914

16,677

3.67

4.52

5.49

110.73

9

브라질

12,964

12,533

16,309

6.62

7.16

5.37

30.13

10

한국

3,735

4,827

10,936

1.91

2.76

3.60

126.55

주: HS Code 3304 기준, 2022년 5월 26일 조회
자료: Global Trade Atla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