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중국 남성 뷰티시장 트렌드
- 등록일2022-07-15
- 조회수327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6-30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 시장#뷰티시장#화장품
중국 남성 뷰티시장 트렌드
◈ 목차
⑴ 남성 뷰티시장 규모 및 전망
⑵ 스킨케어 제품
⑶ 색조 제품
⑷ 시사점
◈본문
│2023년 시장규모 30억 달러 전망
│지속적인 성장 속에 애국 소비성향에 힘입어 자국 신예 브랜드 약진
남성 뷰티시장 규모 및 전망
<2017~2021 중국 남성 뷰티시장 규모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 유로모니터, BUSINESS Watch]
기본적인 위생관리를 위한 면도제품, 바디워시, 스킨로션, 선 크림 등 기초 제품, 에센스, 아이크림 등 업그레이드 제품, 더 나아가 색조 화장품까지 사회 인식이 바뀜에 따라 남성들도 다양한 뷰티제품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남성 소비자들은 뷰티업계의 블루칩으로 떠올랐다. 2016-2019년 중국 남성 뷰티제품 시장의 평균 성장 속도(13.5%)는 전 세계 평균 성장 속도(5.8%)의 2배를 넘어섰고 2023년 중국 남성 뷰티 시장 규모는 약 30억 달러(200억 위안)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Air Paris 중국지역 담당자 Chris Krakowski는 남성 뷰티는 앞으로 몇 년간 성장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말했다.
스킨케어 제품
주*: MAT : Moving Annual Trend, MAT 2021=2020.4.1.-2021.3.31.을 의미
[자료: 메이옌연구원(美业颜究院)]
메이옌연구원(美业颜究院)이 발표한 “2021 남성 뷰티시장 소비 트렌드 분석(2021男士美妆市场消费趋势洞察)”에 따르면 2020년 4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남성 뷰티 제품 온라인 판매액은 86억 위안 가까이 달했는데, 그중 스킨케어 제품이 60%, 색조 제품은 13.8%를 차지하는 걸로 나타났다. Ipsos와 웨이보 소셜 유저 데이터 은행(微博社交用户数据银行)에서 발표한 “남안신기사-남성 스킨케어 시장 분석(男颜新纪事--男士护肤市场洞察)”에 따르면 젊은 층은 지성피부 소유자가 많았고 35세 이상은 건성피부 소유자가 많았다.
<연령대에 따른 피부유형 분포(%)>
[자료: Ipsos, N= 1077]
남성 소비자들이 꼽은 피부 콤플렉스 중 여드름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는 칙칙한 피부색, 건조한 피부, 붉은 기 등이었다.
<남성 소비자 피부 콤플렉스>
[자료: 웨이보 소셜 유저 데이터은행(微博社交用户数据银行)]
따라서 남성 소비자들은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할 경우 보습 및 피지조절 기능을 기본으로 생각했다. 남성 소비자들은 제품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기능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브랜드, 가격, 성분이었다. '남자는 스킨이다'고 하던 예전과 달리 현재 남성 소비자들은 에센스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마스크팩, 크림, 로션, 아이크림 등이었다. 그중 에센스 중점 소비군은 성숙세대(35세 이상)였고 마스크 팩 중점 소비군은 중견세대(25-34세)였다.
<세대별 스킨케어 브랜드 선정 비율>
(단위: %)
종류 | 브랜드 | 신생세대 (18~25세) | 중견세대 (25~34세) | 성숙세대 (35세 이상) |
클렌징 | 국제 브랜드 | 57 | 79 | 70 |
중국 브랜드 | 79 | 60 | 64 | |
중국 신예 남성 브랜드 | 43 | 31 | 45 | |
토너 | 국제 브랜드 | 53 | 84 | 72 |
중국 브랜드 | 81 | 53 | 64 | |
중국 신예 남성 브랜드 | 38 | 34 | 44 | |
에센스 | 국제 브랜드 | 58 | 86 | 74 |
중국 브랜드 | 83 | 59 | 67 | |
중국 신예 남성 브랜드 | 42 | 40 | 42 | |
아이크림 | 국제 브랜드 | 75 | 84 | 75 |
중국 브랜드 | 68 | 61 | 65 | |
중국 신예 남성 브랜드 | 45 | 39 | 46 | |
로션, 크림 | 국제 브랜드 | 69 | 88 | 75 |
중국 브랜드 | 82 | 60 | 65 | |
중국 신예 남성 브랜드 | 60 | 35 | 49 |
[자료: Ipsos, N= 1077]
또한 제품 구매 시 신생 세대일수록 중국 본토 브랜드를 선호했고 중견세대는 국제브랜드를 선호했다. 국제 대형 브랜드를 제외한 기타 외국 브랜드와 비교했을 때 중국 국내 브랜드 가격이 눈에 띄게 저렴하지는 않았지만 궈차오(애국 소비성향)의 영향으로 젊은 층들이 자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