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40 [중국 화장품산업, ’22~23년 소비동향 분석]

  • 등록일2022-08-30
  • 조회수288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8-22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중국 화장품산업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40 [중국 화장품산업, ’22~23년 소비동향 분석]

 

◈ 목차


◈ 포커스

- 중국 화장품산업, ’22~23년 소비동향 분석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미국 FDA, 공급부족 의료기기 목록에 AED 등을 추가

- 미국 Stryker, 병원의 견조한 수요로 매출액 증가 예상

- 스위스 Roche, 황반변성과 유방암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 발표

- 유럽 EMA, Bavarian Nordic의 원숭이두창 백신을 권장

- 이스라엘 ForSight Robotics, 백내장 수술 로봇의 투자 유치

- 중국, 국산화 촉진정책에 대응하는 외국계 의료기기 회사

- 생명공학 산업, 글로벌 VC 투자 감소 추세

- 후성적 유전자 치료, CRISPR 기술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


◈ 의료서비스

- 미국 Amazon, One Medical 인수

- 미국 Mercer, 의료비 증가요인 분석

- 유럽 HERA, ’22년 운영계획 발표

- 튀르키예, 의료관광 상위 10 선호지역 중 하나

- 인도네시아 Bali, 호주 의료관광객 유치

- 베트남, 전통 의료서비스를 통해 의료관광객 유치

- 인도 등, 부족한 간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 투자 확대

- 파키스탄, 의료관광객 급증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Mayo Clinic, Mercy Health와의 협력관계 구축

- 미국 Oncoustic, 가상생검 AI 플랫폼 개발 추진

- 미국 NIST, 헬스케어 사이버 보안 지침 발표

- 유럽 EMBL-EBI, 단백질 구조 데이터베이스 무상 제공

- 일본 등, ‘의료×V-tec’ 시장 급격하게 확대될 전망

- 싱가포르, Healthcare Triangle의 합작투자사 설립 예정

- 아시아·태평양, doxy.me의 플랫폼 접근성 제고

- WEF, 보건의료 시스템에 첨단 기술 적용시 고려사항 제시

 

 

◈본문


중국 화장품산업, ’22~23년 소비동향 분석

중국 컨설팅기업인 아이미디어(iiMedia)사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 화장품 산업은 ’30년경 5,100억

위안 규모를 넘을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중시하던 데서 제품 성분·효능에 더욱 관심을

가지며 합리적인 소비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남성 화장품 시장과 과학기술을 응용한 화장품 기업

등의 발전 잠재력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


[1] 소비 규모, COVID-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어 지속 확대 전망


■ 중국 화장품 산업 시장 규모는 ’30년경 5,100억 위안 초과 달성 전망


• ’21년 중국 화장품 산업 시장 규모는 4,55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15% 성장하여 기본적으로 COVID-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였으며, 국민소득구조 개선 및 미용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대 등에 힘입어 소비 규모는 △(’22년) 4,858억 위안 △(’23년) 5,100억 위안까지 확대될 전망


│’15~’23년 중국 화장품 산업 시장 규모 분석│

’15~’23년 중국 화장품 산업 시장 규모 분석


■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구매를 가장 선호하며 제품 성분·효능에 대한 관심 증대


•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의 72.6%가 종합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화장품을 구매할 것이라 응답하였고, 화장품 구매 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소로는 △성분 58.2% △효능 58.1% △가격 51.1% 순으로 집계


• 또한 ’22년 소비자 선호도 분석 결과, 제품 성분 및 효능에 대한 관심은 증가한 반면 화장품 브랜드 등 외부 요인에 대한 관심은 감소하는 등 합리적인 소비 성향으로 전환되었으며, 남성 소비자의 구매력 및 수용가격이 높아지는 추이를 보임


■ 화장품 업계에 대한 정부의 규제 및 관리감독은 강화


• ’21년 이후 중국은 화장품 효능·표기·원료·안전성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제시하며 다양한 정책과 규정을 통해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신제품 연구개발 주기를 연장시키도록 함으로써 연구개발 과정에 대한 기업 투자 증대 유도



[2] 중국 화장품 산업 발전추이 분석


■ ’21년 중국 화장품 산업 중 스킨케어·색조 메이크업 분야 모두 전년 동기대비 성장하였으며 남성 화장품 시장이 빠른 발전추이를 보임


• ’16년 45억 위안에 불과하던 남성 화장품 시장 규모는 ’21년 전년 동기대비 23.9% 상승하여 99억 위안을 기록하고 △’22년 127억 위안 △’23년 165억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


• 화장품 산업 중 스킨케어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1년에는 전년 동기대비 13.8% 상승하여 2,308억 위안을 기록하였고 최근 스킨케어의 중요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주요 브랜드社의 투자 규모도 확대되는 추이


• 색조 메이크업 시장의 경우 COVID-19 팬데믹 시기의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성장세가 다소 주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1년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10.0% 상승하여 449억 1,000만 위안에 이르렀으며 앞으로도 연평균 성장률은 10.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17년 이후 지금까지 수출·입 규모 모두 꾸준히 상승하는 양상


• 해외 화장품 수입 규모는 ’17년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증가폭이 다소 줄어들며 ’21년 수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8.8% 증가한 수준인 약 1,300억 위안을 기록


• 수출 규모 또한 ’20년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여전히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21년 수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2% 확대되어 252억 3,000만 위안에 이름


│'17~’22.4월 중국 화장품 수출입 현황│

'17~’22.4월 중국 화장품 수출입 현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