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LG화학 등 석유화학기업 바이오플라스틱 진출 활발

  • 등록일2022-08-31
  • 조회수299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22-08-19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플라스틱
  • 첨부파일
    • pdf 이슈브리핑_lg화학 등 석유화학기업 바이오플라스틱 진출 활발_... (다운로드 16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LG화학 등 석유화학기업 바이오플라스틱 바이오플라스틱 진출 활발

- LG화학, ADM과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PLA 생산 위한 美 공장건설 계약 체결 -

- ‘21년도 PLA 국내 수입규모는 3천 5백만 달러로 지속 증가, 주요 수입국은 泰·美·中 -

- CJ제일제당, GS칼텍스, 삼양그룹 등 국내 대기업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진출 확대 -

- 우리 정부와 협회에서도 바이오기업과 화학기업간 협력 촉진을 위한 협의체 운영 중 -


 김지운 선임 연구원·오기환 센터장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 LG화학, 미국 ADM과 대표적인 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인 PLA 진출계획 발표


○ 2022년 8월 16일, LG화학은 식물 기반 제품과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농업기업 ADM과 ‘LA(Lactic Acid) 및 PLA(Poly Lactic Acid) 사업 합작법인 계약’을 맺었다고 밝힘. 


- 계약에 따르면, 1차 합작법인 ‘그린와이즈 락틱(Green Wise Lactic)’은 연간 최대 15만 톤의 고순도 옥수수 기반 젖산을 생산하고, 2차 합작법인인 ‘LG화학 일리노이 바이오켐’은 ‘그린와이즈 락틱’ 젖산으로 연간 7만 5천 톤 규모의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게 됨. - 생산시설은 ‘25년 완공을 목표로 미국 일리노이주에 건설되며, 이로 인해 상업적 규모의 PLA 생산에 필요한 고순도 젖산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다양한 고부가 제품 개발에 바이오 원료를 적용할 수 있게 됨. 


- 이는 지난해 9월 공장 설립을 위한 주요 조건 합의서(HOA) 서명에 이은 후속 조치이며, 원재료부터 제품까지 통합생산이 가능한 PLA 공장으로서는 국내 첫 사례라는 것에 의의가 있음. 


◇ 폴리젖산(PLA)에 대한 수요 증가, 글로벌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의 41.6% 차지


○ PLA는 옥수수 등 식물성 원료에서 추출한 글루코스를 발효 및 정제하여 가공한 젖산을 발효해 만든 것으로, 친환경적이고 생분해되는 특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음. 


- Markets and markets 자료에 따르면, ’21년 기준 글로벌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57억 천 3백만 달러이며, 이 중 PLA 시장 규모는 23억 7천 7백만 달러로 약 41.6%의 비중을 차지함. 


- 또한, PLA는 산업 퇴비에서만 생분해되기 때문에 PHA(polyhydroxyalkanoate)와 같은 가정용 퇴비나 해양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 개발에 영향을 미쳐 관련 시장의 확대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폴리에스테르(PET)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5.3%에 불과하기 때문에, 최근 PET 대체 소재로도 주목받고 있음. 


○ 국내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은 PLA/PBS/PBAT 등 생분해성 원료 소재를 수입·가공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생분해성 원료 소재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아직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음.


◇ 우리나라는 PLA를 대부분 태국 및 미국에서 수입 중, 중국에서의 수입 증가 추세


○ 국내는 PLA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21년도 수입규모는 3천 5백만 달러 규모로 매년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22년도에는 7월까지 2천 1백만 달러가 수입됨

 

한국의 PLA 최근 5년간 수출입 현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