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대만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22-09-07
  • 조회수27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대만 의료기기 시장동향

 

◈ 목차

⑴ 상품명 및 HS코드
⑵ 시장규모 및 동향
⑶ 수입동향
⑷ 경쟁동향
⑸ 경쟁동향
⑹ 시사점

 

 

◈본문


상품명 및 HS코드

제9018호의 기타 의료용 기기(HS CODE 9018.90.80907)



시장규모 및 동향

대만의 의료기기 판매액은 2019년 700억 대만달러를 돌파한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며 2021년에는 777억8500만 대만달러(약 26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대비 2.8%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병원 진료 및 수술 건수가 감소하면서 전반적인 의료기기 수요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역제품 관련 수요가 2021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21년 5월 이후 대만 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자가진단키트 사용량의 증가가 판매액 증가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분석된다.


<대만 의료기기 판매액>

(단위: 백만 대만달러)

대만 의료기기 판매액

주*: 해당 통계는 대만 생산에 대한 판매액을 수치화한 것으로 수입액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자료: 경제부 통계처]


대만 의료기기시장은 크게 의료용 화학제품, 의료설비, 렌즈, 기타 의료기기 및 용품으로 나눌 수 있다. 제품별 판매액 중 가장 비중이 큰 제품은 ‘렌즈’이다. 2021년 기준 렌즈 판매액은 약 323억 대만달러(약 11억 달러)이며 의료기기 전체 판매액의 41.5%를 차지했다. 이는 대만 인구의 약 50%(1,150만 명)가 근시를 가지고 있어 시력교정을 위한 렌즈제품 수요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보호안경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렌즈제품 수요 일부를 견인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렌즈제품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타 의료기기 및 용품’은 병상침대, 인공관절, 수술도구, 보조기구 및 기타 비전자 의료기기와 용품을 일컫는다. 2021년 기준 판매액은 232억 대만달러(약 8억 달러)로 전체 판매액의 29.8%를 차지했다.


‘의료용 화학제품’의 판매액은 2021년 기준 134억 대만달러(약 4억 달러)로 전년대비 6.4% 증가하였으며, 판매 비중은 최근 3년동안 가장 높은 비율인 17.1%를 차지하였다. 의료용 화학제품에는 각종 진단기기 및 드레싱, 약품처리된 거즈 등이 포함되는데, 이중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한 PCR검사 및 자가진단키트 등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수요 급증이 판매액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기 판매액 중 가장 작은 비중을 차지하는 ‘의료설비’에는 혈압기, 혈당계, 방사선 및 전자 의료기기와 관련 용품이 포함된다. 2021년 기준 해당 분류 의료기기 판매액은 89억 대만달러(약 3억 달러)로, 전년대비 13.2% 감소하였다. 판매 감소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하여 급격히 증가한 전자온도계 및 호흡기 치료기기의 구매가 2021년 들어 감소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만 의료기기 시장은 거즈 혹은 장갑과 같은 수술용 소모품, 의료보조기구, 수술기구 등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들의 생산 비중이 컸으나, 대만의 ICT 기술을 융합한 의료기기 개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재택의료 및 비대면의료 시스템의 발전, 국가 차원의 첨단의료기기 연구개발 지원 등과 같은 요소에 힘입어 향후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별 대만 의료기기 판매 규모>

(단위: 백만 대만달러, %)

항목

판매액

비중

‘21/'20 

증감률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의료용 화학제품

(진단시약 포함)

10,622

12,542

13,352

14.87

16.58

17.17

6.4

의료설비
(방사선 및 전자제품)

7,772

10,279

8,921

10.88

13.59

11.47

-13.2

렌즈
(일반안경, 콘텍트렌즈,

선글라스 등)

30,159

31,001

32,297

42.23

40.98

41.52

4.1

기타 의료기기 및 용품
(비전자제품)

22,866

21,821

23,215

32.02

28.85

29.85

6.3

합계

71,418

75,642

77,785

-

-

-

2.8

[자료: 경제부 통계처]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상 의료기기는 전액 보험급여제품, 부분 보험급여제품, 자비부담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전액 보험급여제품은 국민건강보험청(NHIA)이 책정한 가격 전액이 보험으로 처리된다. 부분 보험급여제품은 환자가 비용 일부를 부담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청(NHIA)은 일부 특수 의료기기의 병원 간 가격 차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2020년 8월부터 자비 부담 상한선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특수성능 인공수정체, ▲특수재질의 생물조직심장판막, ▲관상동맥용 스텐트, ▲인공심장박동기, ▲특수재질 인공고관절, ▲뇌척수액 배액 제품, ▲관상동맥협착 치료를 위한 카테터, ▲복합성 심장부정맥 치료를 위한 네비게이션 카테터 등 8개 항목에 속하는 제품이 부분 보험급여제품에 포함된다. 이외 자비제품은 보험급여가 없는 제품으로 가격책정은 오롯이 시장에 의해 결정된다. 2020년 대만 위생복리부 국민건강보험청 통계에 따르면, 대만에 등록된 의료기기는 약 11,000개이며, 그 중 전액 보험금여제품 항목은 7,568개(70%), 부분 보험급여제품 항목은 370개(4%), 자비부담제품 항목은 2,846개(26%)였다.


<2020년 보헙급여별 의료기기 비중>

(단위: %)

2020년 보헙급여별 의료기기 비중

[자료: 대만 국민건강보험청]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