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국 '뷰티 디바이스' 수요 증가, 뷰티 테크까지도
- 등록일2022-09-16
- 조회수287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9-15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뷰티#미국 시장
미국 '뷰티 디바이스' 수요 증가, 뷰티 테크까지도
◈ 목차
⑴ 뷰티&개인 생활용품(Beauty&Personal Care Product) 시장 변화
⑵ 한국 뷰티 관련 제품(K-Beauty) 미국 내 점차 시장 확대
⑶ 바르는 스킨케어 그 이상을 찾다
⑷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D2C)하는 유통채널
⑸ 뷰티시장의 차세대 주자: 뷰티 테크(Beauty-Tech)
⑹ 시사점
◈본문
│집에서 케어하는 뷰티 디바이스(At-home Beauty Devices) 수요 증가
│한국 뷰티 제품(K-Beauty) 미국 수입 시장 점유율 3위 차지
│Beauty-Tech: 혁신과 기술의 발전으로 뷰티 사장에도 진입
중국 시장에서 큰 점유율을 보이던 K-뷰티가 코로나 팬데믹과 세계 경기 둔화 등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시도들을 보이며 재성장의 기회를 찾고 있다. 장기화되는 코로나19 환경 속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소비자의 니즈가 뷰티시장 변화에서 큰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2020년 전 세계 록다운 상황에서 뷰티/미용을 집에서 해결해야 하는 상황을 겪어내며 소비자들의 관심은 At-home Beauty Device 혹은 Self-Care/Home-Use Beauty Device 시장 상승에 불을 지폈다.
뷰티&개인 생활용품(Beauty&Personal Care Product) 시장 변화
뷰티시장은 크게 5가지 소 분야인 스킨케어, 헤어케어, 색조화장, 향수, 위생용품으로 나뉜다. 길어진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마스크 착용 시간을 지내오며 뷰티시장을 주도하는 분야는 서서히 달라졌다.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전인 2018~2019년 기준 전체 뷰티시장에서 스킨&헤어 등 케어제품 비중은 늘고, 색조화장의 비중은 다소 줄었다는 걸 볼 수 있다. 색조화장 영역에서도 눈 화장 관련 제품이 소비시장을 주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관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사가 달라졌기 때문인데 피부 보정을 위한 메이크업 제품 위주로 구매를 하던 심리가 건강한 본연의 피부 유지와 관리 쪽으로 점차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뷰티시장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품목별 점유율 비교>
[자료: Statista,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정리]
한국 뷰티 관련 제품(K-Beauty) 미국 내 점차 시장 확대
세계 최대 뷰티 시장 규모를 가지는 미국 내 수입액 기준, 상위 국가 대부분은 2020년 대비 2021년 수입액 증가율을 보였다. 프랑스, 캐나다 뒤를 이어 수입국 3위에 오른 한국은 7억1200만 달러를 차지했다. 하지만 2020년 대비 증가율로 보면 프랑스, 캐나다보다 높은 수치의 증가를 보였다. Statista에서 미국인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5%가 K-Beauty 인기에 대해 실감한다고 답했다.
<2018~2021년 미국 뷰티 관련 상품 수입 현황>
(단위: US$ 만, %)
순위 | 국명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1년 | |||
전체 | 524,226 | 498,554 | 437,838 | 536,353 | 100.0 | 22.5 | |
1 | 프랑스 | 89,566 | 78,891 | 78,231 | 87,043 | 16.2 | 11.3 |
2 | 캐나다 | 79,507 | 74,894 | 63,637 | 79,605 | 14.8 | 25.1 |
3 | 한국 | 51,065 | 50,309 | 53,858 | 71,215 | 13.3 | 32.2 |
4 | 중국 | 94,635 | 70,564 | 49,547 | 55,940 | 10.4 | 12.9 |
5 | 이탈리아 | 55,334 | 55,399 | 40,860 | 52,855 | 9.9 | 29.4 |
6 | 스웨덴 | 10,841 | 15,187 | 15,801 | 27,539 | 5.1 | 74.3 |
7 | 영국 | 29,626 | 32,693 | 25,380 | 26,074 | 4.9 | 2.7 |
8 | 독일 | 20,910 | 20,010 | 14,476 | 18,068 | 3.4 | 24.8 |
9 | 일본 | 21,021 | 19,177 | 14,458 | 17,860 | 3.3 | 23.5 |
10 | 멕시코 | 14,419 | 14,830 | 16,710 | 17,120 | 3.2 | 2.5 |
주 : HS코드 3304기준, 순위는 2021년 수입액 기준
[자료: US Census Bureau,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정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파키스탄 제약산업 현황
-
다음글
- 헝가리 원격의료 시장 동향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