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파키스탄 제약산업 현황
- 등록일2022-09-19
- 조회수260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9-15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파키스탄 시장
파키스탄 제약산업 현황
◈ 목차
⑴ 일반현황
⑵ 경쟁현황
⑶ 생산현황
⑷ 규제현황
⑸ 공공조달
⑹ 시사점 및 진출전략
◈본문
│경기침체에도 안정적 성장 구사
일반현황
1947년 독립한 파키스탄에는 현재 700개 이상의 의약품 제조 시설이 존재한다. 또한 각 지역주별로 의약품 생산 시설은 Karachi, Lahore 및 Peshawar와 같은 주요 도시에 집중돼 있다. 메이저 회사는 중부 펀자브 지방에 있지만 생산 및 비즈니스 규모 측면에서 카라치 지역의 제약 회사가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2020년 기준 파키스탄의 제약 부문 가치는 약 32억 달러로 추산되어 2011년 16억 4천만 달러에서 두 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2019년 총 수출액은 2003년 4,440만 달러에서 2억 1,800만 달러로 5배 가까이 늘어났다. 다만 2019년 기준 파키스탄의 제약부문 수출비중은 전세계 수출액의 0.9%에 불과하다. 인구 증가와 건강 문제 증가로 인해 특히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안정적으로 뒷받침되고 있으며 취약한 경제 상황에도 크게 흔들리지 않아 일반적으로 파키스탄의 제약 산업은 경기 침체에도 내성이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파키스탄 제약 산업 현황>
지표 | 국민경제 기여도 |
GDP 비율 | 1 % |
고용 | 240,000 |
총수출 비율 | 0.9 % |
수입대체 비용절감 효과 | 20억 달러 |
FDI 비중 | 2.8 % (2천5백만 달러) |
총 산업 부가가치 비율 | 4.2 % |
[파키스탄 비즈니스 위원회, 19년 기준]
참고로 파키스탄에는 현재 906개의 병원, 4554개의 진료소, 5290개의 기초 보건과 및 552개의 농촌 보건 센터가 있으며 모든 의료 시설의 병상 가용성은 98,684개로 추정되며, 이는 침대당 인구 병상 비율이 1,536명이다. 파키스탄 제약 산업은 지난 60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 왔으나 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격차를 채우기 위해 새로운 제조 시설을 필요로 한다. 제약 부문은 회계연도 2020년 기준 약 9%의 성장과 함께 PKR 4,530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젼년도 매출은 PKR 4,160억으로 성장을 기록했다. 회계연도 2020년 기준 의약품 수입은 7%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회계연도 2021년(9개월간) 수입은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스위스가 대 파키스탄 최대 의약품 수출국이며 벨기에, 독일,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가 그 뒤를 따른다.
<파키스탄 의약품 수입 연도별 추이>
[자료 : 파키스탄 제약협회]
<파키스탄 의약품 수입 국별 비중>
[자료 : 파키스탄 제약협회]
경쟁현황
파키스탄 제약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고 도전적이다. 약 759개의 제약 회사가 파키스탄에서 영위 중이며 이 중 225개가 제조시설을 운영한다. 다국적 기업과 파키스탄 국영 기업의 비율은 각각 45%와 55%이다. 국내 기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현지 투자자들에게 고무적이며 파키스탄 제약 산업은 연간 15%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중이다. 현재 추세대로면 국영기업 인수가 늘면서 약 80%의 수요는 국내에서 충족되고 20%는 수입으로 충당되게 된다. 파키스탄이 공공 의료를 강조함에 따라 제약 부문의 수출은 단기적으로 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파키스탄 제약회사 분포 현황>
[자료 : 파키스탄 보건복지부]
파키스탄 제약 제조 협회에 따르면 파키스탄 시장에서 OTC 의약품(처방전이 필요없는 일반의약품) 의 점유율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지난 3년 동안 파키스탄 시장의 평균 OTC 비율은 연간 약 23%에서 25%이다.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이 얼마나 많이 판매되는지 소매업체에서 유지 관리하는 판매 기록이 없기 때문에 공식 또는 비공식적으로 기록을 관리하는 조직은 부재하다고 한다. 또한 의약품 판매에 관한 규정도 제대로 시행되지 않아 누구나 처방전 없이 누구나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게 현실이다. 파키스탄의 제약 제조업체는 의약품 원료의 약 95%를 수입해야 하고, 국내 조달은 5%에 불과하며 정부는 수입 원자재에 대한 관세를 점진적으로 인하함으로써 제조업체가 원자재 수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였다.
<10대 제약회사 리스트, 2019년 기준>
[자료 : 파키스탄 제약협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