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제약·바이오 뉴스 다시 읽기 - 2022년 9월

  • 등록일2022-09-21
  • 조회수248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09-14
  • 출처
    국가신약개발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제약·바이오 뉴스
  • 첨부파일

 

 

제약·바이오 뉴스 다시 읽기 - 2022년 9월

엔허투(Enhertu); HER2 저발현 유방암 치료제 허가와 적응증 확대

 

FDA, 엔허투 HER2 변이 폐암에 신속 승인('22.08.13., 의약뉴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지난 8월 12일(현지 시각)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 개발한 항체-약물 접합체(ADC)인 표적항암제 엔허투(Enhertu, 성분명: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 fam-trastuzumab deruxtecan-nxki)를 HER2(휴먼 표피성장인자 수용체2)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제로 신속 승인했다. 폐암은 엔허투에 승인된 세 번째 종양 유형으로, 앞서 미국에서 엔허투는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로 승인된 바 있다.


엔허투는 2019년 미국에서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제(조건부)로 최초 허가되었으며, 순차적으로 HER2 양성 위암 및 HER2 저발현 유방암,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으로 적응증의 범위를 확대했다. 특히, 지난 8월에는 HER2 저발현 유방암과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2건의 FDA 승인을 받아 ADC 항암제 시장의 패러다임을 전환시켰다.


<표 1> FDA의 엔허투 허가 내역

FDA의 엔허투 허가 내역


대표적인 HER2 양성 유방암 표적 치료제로는 로슈의 허셉틴(Herceptin, 성분명: 트라스트주맙)과 GSK의 타이커브(Tykerb, 성분명: 라파티닙)가 있으며, 엔허투는 HER2 음성 유방암의 새로 정의된 하위 집단인 HER2 저발현 유방암 아형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최초의 치료제이다. FDA가 인용한 국립암연구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미국에서 추산되는 287,850건의 유방암 사례 중 약 80~85%가 이전 정의에 따라 HER2 음성으로 간주되었으나, 이 중 60%가 현재 HER2 저발현 유방암으로 분류되어 엔허투로 치료할 수 있다.

<표 1> 유방암의 종류

<표 1> 유방암의 종류

 *HER2 음성 환자 중 엔허투 투약 대상이 될 수 있는 저발현 환자군으로 새롭게 분류


엔허투는 HER2 항체(Antibody)인 트라스트주맙에 세포독성 물질(Payload)인 데룩스테칸을 링커(Linker)로 연결한 구조로 특히 항체와 페이로드(Payload)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엔허투는 독성이 약한 데룩스테칸을 페이로드로 채택하여 항체 1분자당 데룩스테칸 8분자를 결합하여 약효를 높이는 전략을 취했다. 항체 당 약물 결합 비율(DAR, Drug-to-antibody-ratio)을 8까지 높여 DAR이 3.5인 HER2 표적 양성 유방암 표준 치료제인 로슈의 캐싸일라(Kadcyla, 성분명: 트라스투주맙 엠탄신)에 비해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암세포 내에서 방출되어 소수성이 증가된 데룩스테칸은 세포막을 투과하여 주변효과(bystander effect)로 인접암세포(Neighboring tumor cell)에 영향을 주어 종양 특이적 암세포 뿐만 아니라 비특이적 암세포까지 살상이 가능하므로 HER2 저발현 암세포도 제거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