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폴란드 화학산업 동향과 진출전략
- 등록일2022-09-23
- 조회수251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22-09-14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화학산업 동향#폴란드 시장
폴란드 화학산업 동향과 진출전략
◈ 목차
⑴ 20세기초부터 발전한 폴란드 화학산업, 현재 EU에서 7위 규모
⑵ 폴란드 화학시장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대외무역 적자 지속
⑶ 고부가가치 화학분야 육성 및 친환경적 생산구조로의 변화 전망
⑷ 시사점
◈본문
│대형 화학 공업과 정유화학 위주로 발전하여 정밀화학 시장 수요 충족 못해
│고부가가치 화학산업 육성 및 친환경적 생산구조로 변화될 전망
│20세기초부터 발전한 폴란드 화학산업, 현재 EU에서 7위 규모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퀴리 부인을 배출한 폴란드는 1918년경부터 화학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50∼70년대 사회주의 시절에는 질소, 비료, 염료, 안료 등의 화학 분야가 발전하였다. 오늘날의 화학 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21년 기준 약 3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국민의 약 12%가 화학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년 기준 폴란드 화학 시장의 매출액은 사상 최초로 700억 즈워티(약 20조 원)를 초과하였으나, ‘20년에는 코로나19의 타격으로 화학 시장 매출액이 전년 대비 3% 감소하여 약 680억 즈워티(약 19조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년 폴란드 국내 경기가 다시 회복됨에 따라 산업 전반적으로 화학제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21년 기준 폴란드 화학 시장 매출액은 약 850∼900억 즈워티(약 24조~26조원)로 전망되고 있다.
<폴란드 화학 시장 매출액 현황>
(단위: 십억 즈워티)
[자료: 폴란드 통계청, 폴란드 Pekao 은행]
EU 국가 중 폴란드 화학 시장 규모는 7위(1위∼6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벨기에)로 EU의 약 3%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동부 유럽에서는 폴란드가 가장 큰 화학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폴란드 화학 산업의 구조를 분석해 보면 염료, 안료 등의 특수화학 제품 분야가 2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비재 화학제품 20.4%, 화학섬유, 고무, 플라스틱 등의 폴리머 분야가 19.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폴란드 화학산업 구조 현황>
(단위: %)
[자료: 폴란드 통계청]
폴란드 화학시장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대외무역 적자 지속
폴란드 화학산업의 무역수지를 살펴보면 화장품, 가정용 화학품목에서만 무역흑자를 내고 있으며 기타 화학 분야에서는 지속적으로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즉, 이는 폴란드 국내의 다양한 화학제품의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수요를 충족시켜 줄 폴란드 국내산 공급량이 부족하여, 외국에서의 수입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분석될 수 있다.
<폴란드 화학 분야 무역수지 현황>
(단위: 십억 유로)
[자료: Eurostat, 폴란드 Pekao 은행]
폴란드 화학 산업은 대형 화학 공업과 정유화학 위주로 발전하였다. 반면 자동차, 전자, 의약품 등에 필요한 원부자재를 생산하는 정밀화학 분야에서는 증가하는 수요를 국내 생산으로 충족시키지 못해 해외수입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對폴란드 수출 품목 중 최근 3년간 지속 증가하고 있는 상위권 수출 품목 중 하나도 정밀화학원료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LCD/LED, 이차전지 등에 들어가는 소재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국산 정밀화학 원료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수출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타정밀화학원료 관련 우리나라의 對폴란드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주: HS 코드 2290
[자료: 무역협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