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프랑스 기업들의 ESG 경영 전략
- 등록일2022-10-05
- 조회수358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9-26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ESG 경영
프랑스 기업들의 ESG 경영 전략
◈ 목차
⑴ 프랑스 내 ESG 경영 현황
⑵ 프랑스 내 ESG 경영 정착을 이끈 정부의 노력
⑶ 기업 내 탄소중립에서 밸류체인 전체의 탄소중립으로
⑷ 시사점
◈본문
■ 프랑스 내 ESG 경영 현황
요즘 프랑스 기업들은 매우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홍보하고 있다. 각 기업은 연간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합친 통합보고서를 매년 발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기업들과는 달리 기업 홈페이지의 메인 카테고리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코너를 반드시 마련해 자신들의 목표와 전략을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요즘 프랑스 기업들이 ESG 요소 중 가장 공들여 고려하는 부분은 아무래도 ‘환경’이다. 2015년 ‘파리 기후협정’을 계기로 국제사회가 온실가스 감축에 협력하기로 한 이래 UN 및 EU 차원에서 지금까지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기 위한 각종 정책을 도입하고 있는 만큼, 프랑스 기업들도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여러 전략을 계속해서 제시하고 있다. 기업들의 통합보고서를 보면, 프랑스 기업들이 2015년 ‘파리 협정’(UN 기후 변화 회의에서 채택된 조약), UN의 ‘지속가능개발 목표’ 17가지, ‘COP 26’, ‘COP 27’ 등으로 불리는 UN 기후 변화 회의 등에서 논의된 바를 충실히 따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들마다 NZI(net Zero Initiative), ACT(Assessing Low Carbon Transition), SBTI(Science Based Targets) 등 국제 기구나 권위있는 민간단체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을 활용하여 각자의 지속 가능 경영 목표를 세우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자동차산업의 경우, 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을 기업의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Stellantis 그룹의 경우, 자동차 산업에서 기후변화 대응의 1인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자동차 제품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탄소효율적 생산 시스템 구축, 공급망 내 친환경 수행능력을 향상해 2038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고자 한다.
환경보호를 통한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노력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심지어 금융업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AXA그룹의 경우 투자자, 보험사, 일반 기업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투자자로서 AXA 펀드 자산의 탄소발자국을 2025년까지 20% 이하로 줄이고 녹색투자 규모를 2023년까지 260억 유로 규모로 늘릴 것을 약속했으며, 보험사로서는 녹색보험상품을 2023년까지 13억 유로 규모로 확대하기로 약속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의 모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2025년까지 AXA 그룹 자체의 운영 과정에서 배출하는 탄소량을 줄여 탄소중립을 실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 프랑스 내 ESG 경영 정착을 이끈 정부의 노력
기업들이 앞다투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게 된 배경에는 프랑스 정부의 오랜 노력이 한몫했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 정부는 오래전부터 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각종 가이드라인 및 규제를 마련해왔다. 2001년 제정된 ‘신경제규제법’(NRE 법)은 유럽 최초로 대기업에 비재무 정보 공시를 요구하는 법으로, 700여 개의 대기업의 연간 보고서에 기업 활동에 따른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포함시키도록 의무화했을 뿐만 아니라 CSR 전략을 개발하도록 주문했다. 이후 2015년에는 프랑스의 대표적 ESG 관련 입법 사례로 꼽히는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 전환법’(LTECV)을 제정했다. 이 법은 기후변화 대응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고용창출을 노리고 에너지 비용을 감소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 법에 따르면, 투자회사 및 공공기관의 투자 시 투자 원칙에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질에 관한 기준을 반드시 포함하고 에너지 및 생태 전환에 기여하기 위한 조치를 도입해 이를 연간 보고서에 공시할 것을 의무화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중국 진단시약 시장동향
-
다음글
- 국내·외 고령친화산업 新산업화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