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진단시약 시장동향

  • 등록일2022-10-06
  • 조회수271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중국 진단시약 시장동향


 

◈ 목차


⑴ 상품명 및 HS Code
⑵ 시장동향
⑶ 수출입 현황
⑷ 경쟁동향
⑸ 시장 및 유통구조
⑹ 관세율 및 인증

 

 

◈본문


■ 상품명 및 HS Code 

진단시약이란 사람의 병이나 임신여부 등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써 화학진단, 분자진단, 형광진단, 효소면역진단 등의 다양한 진단방식을 사용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진단시약 시장은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로 인해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진단시약은 용도에 따라 체내진단시약과 체외진단시약으로 나뉜다. 투베르쿨린, 브루셀라피내반응진단액과 같은 일부 체내진단시약을 제외하면 진단시약의 대부분이 체외진단시약에 속한다.

  • HS CODE

    제품명

    382200

    진단용 시약


■ 시장동향


중국 체외진단 산업은 비교적 뒤늦게 시작된 편이나 크게 ①시장도입 단계, ②성장초기 단계, ③급속발전 단계, ④업그레이드 단계의 네 단계를 거치며 짧은 시간 내에 성장했다. 중국의 체외진단 산업은 1980년대에 시작되어 40년 동안의 발전을 거쳤으며 현재는 중국 국내적으로도 비교적 포괄적인 산업사슬이 구축되어 있다.

 

중국 정부는 2005년부터 체외진단기를 포함한 바이오 첨단기술 지원정책을 몇 차례 발표하였고 관련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 지원에 힘입어 체외진단 기술, 제품, 설비 분야에서 많은 기업들이 생겨났다.

 

<체외진단(진단시약 포함) 산업 관련 정부 정책>

발표일시

(발표기관)

정책명

주요내용

2006.02

국무원

국가 중/장기 과학 및 기술발전 규획 강요(2006-2020)

ㅇ 예방 및 조기진단 기술 연구

ㅇ 중대 질환 진단 및 치료 능력 제고

ㅇ 조기 진단 기술 개발

2017.04

과학기술부

13.5 바이오 기술 혁신 특별 계획

ㅇ 체외진단 기술 및 제품, 가정용 의료(건강) 장비 개발 및 강화

ㅇ 모바일 의료 발전 강화 등

2020.12

중국상무부,

발전개혁위원회

외국기업 투자 장려 산업목록

ㅇ   외국기업의 신형 진단시약, 면역분석기, 혈액세부분석기 분야 등의 투자유치 및 투자지원

[자료: 중국 국무원 및 KOTRA 다롄무역관]

 

현재 중국에는 18,000여 개의 병원, 300여 개의 혈액은행, 수천 개의 검진센터, 수백 개의 의료연구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외에도 기업이 자체적으로 운영중인 연구소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어서 진단시약의 시장잠재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중국 인구는 전세계 인구의 약 18%를 차지하지만 체외진단시약의 시장규모는 전세계 시장의 2%에 불과하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진단시약 수요가 급증하였고 관련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면서 중국의 진단시약 시장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는 중국 서민들의 의료지출 증대와 인구수 대비 부족한 의료환경도 한몫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은 3년 가까이 지속해오고 있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전시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핵산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여기에 투입되는 진단시약의 양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