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 등록일2022-10-11
  • 조회수2703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자료발간일
    2022-10-05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의약 산업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바이오 의약 산업 전망

 

◈ 목차

⑴ 포커스 <중국, '28년 바이오 의약산업 전망>
⑵ 제약·의료기기·화장품
⑶ 의료서비스
⑷ 디지털 헬스케어
 

◈본문

■ 중국, ’28년 바이오 의약 산업 전망
[1] 중국 바이오 의약 산업의 현주소
중국 바이오 의약 산업은 강력한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역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의 바이오 의약품 

  혁신 생태계는 규제 개선, 글로벌 자금 조달, 대회 파트너십과 거래 확대 등의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15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화하기 시작


환경 조성 요인은 규제 통합, 자금 지원, 대외거래 요소로 구성

 - (규제 통합) ’15년부터 중국은 규제 시스템을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도록 변경하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 약품심사평가센터의 

   심사 전문 인력을 150명에서 700명으로 4배 가량 확충하여 심사 속도를 높이고 있으며, ’21년부터 환자 중심과 의료 측면의 가치에 초점

 - (자금 지원) 중국 바이오테크 분야에 대한 벤처 캐피탈 투자 규모는 ’15~’17년 중 40억 달러에서 ’18~’20년 120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22년 초 기준으로 중국의 바이오테크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미국에 이은 세계 2위 규모를 기록 중

 - (대외 거래) ’20년 1월 ~ ’22년 5월 기간 중 미국과 유럽 바이오의약 기업들에 대한 중국의 바이오테크 기업의 기술 수출(licensing out)은    46건이며, 기술 도입(licensing in)은 160건으로 추산


밸류체인 역량은 연구 및 발견, 의료 부문의 발전, 제조 분야로 구성

 - (연구 및 발견) ’21년 Nature Index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100대 생명공학 연구소 중 8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51개와 

   유럽의 28개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지만 영국의 9개, 독일의 7개와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

 - (의료부문 발전) 의료 부문 발전에 따른 혁신 관련 지적 자산의 숫자는 최근 5년간 3배 증가했으며, 이러한 지적 자산의 일부는 분자 

   수준의 첨단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획득된 지적 자산

 - (제조 분야) 중국은 분자 수준의 의약품을 포함한 의약품 및 제네릭 의약품의 생산에서 높은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의 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전세계 단일클론 항체 생산의 7%를 차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