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검색과 쇼핑 데이터를 중심으로 살펴본 코로나19에 의한 사회적 영향

  • 등록일2022-10-17
  • 조회수267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0-06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데이터#코로나19
  • 첨부파일

 

검색과 쇼핑 데이터를 중심으로 살펴본 코로나 19에 의한 사회적 영향


 

◈ 목차

⑴ 코로나19 팬데믹과 데중의 변화
⑵ WHO 팬데믹 선언은 대중 인식을 얼마나 환기시켰나?
⑶ 젊은이들의 대응은 과연 비판받았어야 할까?

⑷ 코로나 19의 레저 산업 영향과 변화의 예측
⑸ KISTI data insight
 

◈본문


■ 코로나19 팬데믹과 데중의 변화


○ 코로나19 대중과 사회를 바꾸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전염병으로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유래없는 큰 영향을 미침.

- 2019년말 처음 보고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는 코로나 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로 불리며, "세기에 한

  번 발생될 병원체"로 여겨질 정도로 세계적으로 큰 위기를 초래함(Gates, 2020).

- 코로나19 확산은 인명 피해와 더불어 이동 제한, 재택근무, 디지털 전환의 촉진과 같이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주었음.

- 이에 본 고에서는 대중의 검색 활동과 신용카드 사용 활동을 통해서 바라본 코로나19 팬데믹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사

  회, 경제적 영향에 대한 논문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함.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나타난 대중의 초기 인식 변화, 대응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적 갈등, 그리고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대두된 일상의 변화를 살펴봄.

-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나타난 사회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진은 팬데믹 초기(100일간)의 대중 인식 변화를 Google 검색 활동에

  서 나타난 국가간 차이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WHO 팬데믹 발표의 효과를 분석함.

- 코로나19 확산 과정에서 정부는 확산을 막기 위해 다양한 방역 정책을 기획 및 수행하였는데, 여기에서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사회적 갈

  등이 수반되기도 했음.

- 사회적 갈등 중에서 연령(세대)간 갈등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젊은 세대와 다른 세대간 코로나19에 대한 반응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코로나19 최초 발생부터 1년간 나타난 연령대별 네이버 검색 활동과 신용카드 소비활동을 분석함.

- 코로나19 팬데믹이 1년 이상 지속되면서 나타난 대중의 일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팬데믹 전후 2년간 레저 산업의 쇼핑 클릭 정보를 분

  석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