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49

  • 등록일2022-11-03
  • 조회수251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0-17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서비스#디지털 헬스케어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 목차

⑴ 포커스
⑵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⑶ 의료서비스
⑷ 디지털 헬스케어
 

 

◈본문

1. 포커스

일본, 프라이머리 케어 데이터 정비, 활용방안 모색

일본은 의료서비스 품질 향상과 의료비 효율화 양립을 실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의료데이터 정비·활용 을 논의 중이지만, 1차 의료기관인

진료소를 비롯해 중소 의료기관의 진료차트 전자화, 표준화가 늦어지면서 데이터 활용도 지연되고 있는 상태. 이는 선진국들이 1차 의료

기관의 진료차트를 거의 100% 전자화하고 다른 의료기관이나 약국 등과 공유하는 한편 2차이용을 목적으로 DB를 정비하고 있는 것은

것과는 대조적. 본 자료는 영국과 네덜란드의 프라이머리 케어 데이터 정비·활용 상황을 정리하고 의료 데이터 활용을 위해 일본 정책

방안을 소개


[1] 디지털 헬스 개혁 추진 중이지만 진료차트 디지털화는 지지부진
■ 프라이머리 케어(Primary care)는 의료를 3단계로 구분했을 때 1차 의료(일상적으로 친근한 질병이나 상처 치료)에 해당

 많은 국가들이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 GP, 1차 의료 전담의사)를 통해 프라이머리 케어를 제공하고 있으며 GP등록 제도를 실시함으

  로써 GP의 위치를 의료 제도상으로도 보증  

 원칙적으로 모든 주민은 GP에 등록해 1차 진료를 받은 후 중증인 경우 전문의를 소개받는 방식이며, GP는 자신에게 등록한 주민의 건강

  을 책임지기 때문에 치료는 물론 예방에도 적극적 

 반면 일본은 등록제가 없고 프라이머리 케어를 담당하는 진료소를 환자가 증상에 맞게 방문하는 것이 특징으로, 이런 이유로 환자와 의사

  의 관계가 일회성이어서 의사가 환자의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고 환자의 건강에 대한 의사의 책임도 다소 불분명 

 COVID-19 이후 일본도 1차 의료 전담의사 등록제 등 프라이머리 케어 제도화와 관련한 논의가 활발했고 프라이머리 케어 관련 데이터

  정비·활용이 지연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제기 

 일본 정부가 추진 중인 데이터 헬스 개혁은 이미 전자화·표준화 된 진료보수명세서 데이터 공유를 추진하고 있지만 가장 포괄적인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진료차트 데이터 공유는 논의는 활발하지만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 

 일본은 ’99년 일정 요건 충족 시 전자매체도 법률이 정한 진료차트로 인정한다는 취지의 통지가 나오면서 전자차트가 본격적으로 도입됐

  으며 ’06년까지 진료소 전자차트 보급률 60% 실현을 목표로 했지만 ’20년 시점에서도 도입률은 50% 미만 

 특히 1차 의료기관의 진료차트 전자화, 표준화가 저조한 것은 비용을 부담하면서까지 표준화된 전자차트를 도입할 메리트가 없다고 판단

  하는 곳이 많고 다른 의료기관에 환자 정보를 제공할 기회도 적어 종이 차트로도 충분하다는 입장

 

[2] 영국과 네덜란드를 통해 본 해외의 의료 데이터 활용 현황

 OECD에 따르면, 유럽을 중심으로 프라이머리 케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는 전자 진료차트가 거의 100% 보급된 상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