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367호_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이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에 미치는 영향
- 등록일2022-11-04
- 조회수260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1-03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 마이데이터#보건의료 데이터산업
- 첨부파일
[보건산업브리프 367호]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이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에 미치는 영향
◈ 목차
⑴ 연구 배경 및 필요성
⑵ 보건의료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
⑶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에 따른 경제성 효과 분석
⑷ 결론, 의의 및 한계점
◈본문
■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은 보건의료 데이터의 생산, 수집, 처리, 분석, 유통, 활용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음
- 보건의료 데이터(보건의료 정보)란 보건의료와 관련한 지식 또는 부호, 숫자, 문자, 음성, 음향, 영상 등으로 표현된 모든 종류의 자료로 서, 개인별 진료·처방, 의료영상자료와 같은 진료 데이터,보건의료 공공기관 데이터, 개인별 유전체 정보, 임상연구 데이터, 의료기기 기반 데이터, 오믹스 데이터, 개인 건강정보 등의 정보를 의미함
- 데이터산업이란 데이터의 생산, 수집, 처리, 분석, 유통, 활용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함
• 이러한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은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분야 중 핵심적인 분야로서, 우리나라도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음
- 주요 선진국들은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보건의료 데이터 수집과 개방, 공유를 강화하고 있는 중
- 우리나라도 혁신성장 신산업(BIG3) 중의 하나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보건의료 데이터 전송·활용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여 바이오 헬스 산업 육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진행 중
• 이에 우리나라도 국가 예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부기관에서 보건의료 데이터 분야를 육성·발전시키기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 그 중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데이터 관련 부처 중 가장 많은 21개의 세부사업을 보유하고 있고, 예산 또한 데이터 주무부처인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다음으로 많은 예산인 1,980억 9,300만원을 배정받아 집행하고 있음(<표1> 참조)
• 특히,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데이터산업 육성·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의료 마이데이터’를 전송·활용하기 위한 플랫폼을 개발하였음
- 보건복지부는 ‘의료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기 위한 플랫폼인 ‘건강정보 고속도로(마이 헬스웨이)’와 ‘나의건강기록 앱’을 2021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많은 인적ㆍ물적 자원을 투입 중
• 이러한 의료 마이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도입을 통해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은 향후 비약적인 발전을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관련 연구는 부족한 편임
- 따라서,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에 의한 시장규모의 변화와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여 경제적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