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69]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및 시사점

  • 등록일2022-11-17
  • 조회수312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1-15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클러스터
  • 첨부파일

 

 

[보건산업브리프 Vol. 369]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및 시사점


 

◈ 목차

I . 서 론

Ⅱ.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클러스터 현황 

Ⅲ. 시사점

 

◈본문

Ⅰ. 서론

⊙ 클러스터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사슬에 연계된 독립성이 강한 기업들과 지식창출기관(대학, 연구기관, 지식제공 기업), 연계 조직(컨설턴트, 중개기관, 금융기관 등), 고객(수요자)의 네트워크임 (OECD, 1999 정의)

⊙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바이오클러스터가 조성되어 있으며, 형성과정에 따라 크게 자생적, 정부주도, 대학 주도로 구분됨

⊙ 클러스터 형성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민간 주도로 성장한 클러스터에서도 정부는 행정 및・재정적 지원을 통해 행위자들의 활동을 촉진시키거나 그들 간의 효율적 연계 고리를 강화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함




⊙ 세계 각국에서는 정부 주도로 바이오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지역 경제와 산업발전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낸 사례들이 있음

⊙ 따라서 본 브리프에서는 중국, 일본, 미국, 싱가포르 4개국에서의 성공사례들을 통해 클러스터의 발전에 있어 정부의 역할과 성공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Ⅱ.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클러스터 현황

1. 중국 베이징 중관춘생명과학단지 (Zhongguancun Life Science Park)

■ 개요

⊙ 중관촌생명과학단지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는 베이징시 북서부의 하이뎬구(해전구)에 위치한 중관촌과학단지에 속해 있음

⊙ 중관촌과학단지는 현재 상하이 푸동, 주강델타(홍콩, 광동) 지역과 함께 중국 3대 첨단산업지역으로 손꼽히며, 그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