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74] 국내 의료기관의 ESG 인식도 및 경영 현황
- 등록일2022-11-18
- 조회수2414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자료발간일
2022-11-16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관#ESG
- 첨부파일
[보건산업브리프 Vol. 374] 국내 의료기관의 ESG 인식도 및 경영 현황
◈ 목차
I. 서론
II. 의료기관의 ESG
III. ESG 인식도 및 경영 현황
IV. 시사점
◈본문
Ⅰ. 서론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ESG 관련 규제 강화와 함께 소비자의 ESG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특히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소비 선택의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음
▪이러한 추세 속에서 단순한 의료서비스 제공이라는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 환원, 친환경 활동, 투명한 의사결정과 명확한 정보공개 등의 활동을 강화하고자 ESG 경영을 도입하는 의료기관들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세계 각국에서 탄소중립(Net Zero) 정책 등 ESG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ESG 경영을 도입하는 기업 및 의료기관이 많아짐에 따라, 국제의료사업을 추진하는 국내 의료기관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ESG 경영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음
▪따라서 본 브리프에서는 국제의료사업을 추진하는 국내 의료기관의 ESG 경영 도입 현황 및 인식도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Ⅱ. 의료기관의 ESG
1. ESG 개념과 평가
가. 개념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위한 3가지 핵심 요소임1)
- E(환경) △기후변화 및 탄소 배출 △환경오염 및 환경규제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자원 및 폐기물 관리 △에너지 효율 △책임있는 구매·조달 등이 있음
- S(사회) △고객만족 △데이터보호·프라이버시·인권, 성별 평등 및 다양성 △지역·사회 관계 △공급망 관리 △근로자 안전 등이 있음
- G(지배구조)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구성 △뇌물 및 반부패 △로비 및 정치 기부 △기업윤리 △컴플라이언스 △공정경쟁 등이 있음
▪최근,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평가 기준이 ‘재무적’인 정량 지표 중심에서 ‘비재무적’인 지표까지 확대되고 있음
-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 피치(Fitch Ratings), S&P(Standard & Poor’s Global)등에서는 ESG 평가 결과를 신용등급에 반영함
- S&P Global의 경우, 환경오염이나 탄소배출량, 안전보건, 내부통제, 리스크 관리 등으로 분류하여 조정사유에 해당하는 기업에 대해 신용등급을 조정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보건산업브리프 Vol. 363] 글로벌 코로나 19 팬데믹 대응 디지털 헬스 도입 현황 및 제언
-
다음글
- [보건산업브리프 Vol. 369]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