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 바이오 투자 동향-유전자 치료제 및 세포 치료제
- 등록일2022-12-09
- 조회수38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2-11-25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투자#유전자 치료제#세포 치료제
- 첨부파일
글로벌 바이오 투자 현황-유전자치료제 및 세포치료제
◈ 목차
1. 서문
2. 본문
2.1. 투자 규모의 변화
2.2. 투자 분야
2.2.1. 세포치료제
(1) 인수
(2) 시리즈 A 투자
2.2.2. 유전자치료제
(1) 인수
(2) 시리즈 A 투자
3. 결론 및 전망
4. 참고문헌
◈본문
1. 서문
코로나 팬데믹(pandemic)은 전 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제약/바이오테크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커졌다. 이제는 국민 대부분이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화이자(Pfizer; * COVID-19 백신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BioNTech] 공동개발), 모더나(Moderna)의 이름을 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는 제약업계에서는 글로벌 거대 제약사로 이미 유명한 회사지만 관련 업계 종사자가 아닌 사람들까지도 그 이름을 알게 된 것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노동환경 변화, 산업 구조 재편 가속화로 기존의 산업이 축소되거나 흔들리는 동안, 이 시기를 기회로 급성장한 업계가 다수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제약/바이오테크는 COVID-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라는 근본적인 대응 방식을 기반으로 그 위치를 공고히 했다. 여전히 변이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감염자 및 사망자 수는 늘었다 줄기를 반복하고 있지만 전 세계는 조심스럽게 코로나를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다고 여기는 쪽으로 발을 옮기고 있다. 그와 동시에 코로나 유행기간 동안 유례없이 풀렸던 달러를 미국이 회수하면서 전 세계는 물가 상승에 이은 경기침체의 위험을 직면했다. 본 리포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제약/바이오 업계의 투자 양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2022년 상반기 투자에서 어떤 모달리티(modality)가 각광받은 세포·유전자 치료제 회사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2. 본문
2.1. 투자 규모의 변화
2019년까지 제약/바이오 업계 투자는 꾸준히 일정한 규모를 유지해왔다 (그림 1). 글로벌 바이오테크 투자 규모를 보면 2019년까지 전체 투자 규모는 150억 달러 미만이었다 [3].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매해 투자 규모는 낮으면 10% 미만, 높으면 35% 내외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9년 143억 달러 규모였던 글로벌 벤처 캐피탈(venture capital, VC) 투자는 2020년 230억 달러로 2019년 대비 60% 이상 증가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제도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05] 미국 FDA, CAR-T 및 유전자 치료제 관련 산업 지침 확정 및 발표 2024-03-21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02] 미국 제약사 J&J, MeiraGTx의 안과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투자 2024-02-14
- 특허동향 [제9호 BIO-IP 이슈페이퍼] ADC 치료제, 바이오파운드리, 바이오 투자환경과 특허전략 2023-12-15
- 제도동향 해외 주요국 의약품 규제 동향 정보집 2023-11-07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93] 유전자 치료제, AAV가 벡터 시장을 주도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