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59(2022.12.26)

  • 등록일2022-12-30
  • 조회수249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2-26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디지털
  •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59(2022.12.26)


 

◈ 목차

⑴ 포커스
⑵ 제약,의료기기,화장품
⑶ 의료서비스
⑷ 디지털 헬스케어

 

◈본문

미국, 원격의료에 힘입어 성장하는 디지털 헬스 시장

미국 의료업계는 COVID-19 확대를 계기로 디지털 헬스의 본격적인 실용화에 나섰으며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등을 활용한 기술의 발달로 의료업계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어 앞으로도 디지털 헬스 시장은 장기적인 성장이 예상.

본 자료는 COVID-19로 보급이 확대된 미국의 원격의료 시장의 현황, 과제, 디지털 헬스 분야 스타트업의 투자동향을 소개


[1] 디지털 헬스 발전을 촉진시키는 미국의 의료비 구조

최근 의료, 건강관리 영역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헬스의 정의는 매우 광범위하며 계속 변화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칭


- 미국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의료혁신이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헬스는 웨어러블 단말 등으로 대표되는 모니터링 도구, 화상통화, 전자진료차트, 의료용 모바일 앱 등 다양한 ICT를 이용하며 일반적으로 진료나 건강유지가 목적

-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년 9월 의료기기·방사선보건센터(CDRH) 내에 디지털 헬스 기술 관련 전문부서인 ‘우수디지털헬스센터(DHCoE)’를 만들고 모바일 헬스 기기, 의료기기SW, 웨어러블 기술 등의 기술 발전에 초점을 맞춰 나갈 것임을 강조

- 미국에서는 고가의 의료비나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높은 의료비 지출이 디지털 헬스 발전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OECD에 따르면, ’21년 미국 국민 1인당 의료비(1만 2,318달러)는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고 미국을 제외한 OECD회원국 상위 10개국 평균은 6,452달러라는 점에서 미국의 의료비는 평균 약 2배에 달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

디지털 헬스를 촉진하는 기술혁신 가운데 헬스케어 산업에 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았던 원격의료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이용이 급격하게 확대

- COVID-19 사태가 원격의료 보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의료기기 회사인 필립스 관계자는 “그동안

의료업계는 차분한 속도로 움직였지만 COVID-19는 혁신에 대한 변화와 적응을 가속시켰으며, 10년 정도 걸릴 것이라던 원격의료의 사회 적용은 단 3개월 만에 달성됐다”고 언급

- 미국의 원격의료서비스 도입률은 ’19년은 입원설비가 있는 병원을 기준으로 33%, 외래환자용 시설은 45%였지만 ’20년에는 미국 병원 전체의 약 75%로 급성장했으며 특히 비디오 대응 기능을 가진 플랫폼 수요가 확대되면서 줌(Zoom)과 시스코 시스템즈社가 시장 점유율을 획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