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KISTI R&I Report: 스마트농업 과학·기술·산업 분석
- 등록일2023-01-10
- 조회수351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2-27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농업#4차산업혁명#지속가능성#스마트팜
- 첨부파일
KISTI R&I Report: 스마트농업 과학·기술·산업 분석
◈ 목차
1장 배경 및 필요성
Ⅰ. 배경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4차 산업혁명·5G의 첨단화된 솔루션, 스마트농업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을 구현하는 국가 혁신성장 전략분야
데이터 기반 고효율 디지털 농업 기술로 진화
Ⅱ. 필요성
기상·기후환경 위기 및 지속적인 농경지 면적 감소에 따른 식량안보 위기
고투입·저효율 농업 구조의 미래 지속가능성 우려
농업인구 감소 및 고령화 극복 등 농촌 소멸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전환
2장 환경분석
Ⅰ. 스마트농업의 범위
스마트농업 정의
스마트농업 기술의 범위
Ⅱ. 이슈 분석
정치(정책)적 이슈
경제적 이슈
기술적 이슈
3장 시장분석
Ⅰ. 시장 역학(Market Dynamic) 분석
Ⅱ. 시장 규모 분석
시장 동향
시장 규모
부문별 시장 규모
Ⅲ. 경쟁 분석
주요 플레이어
경쟁환경 분석
4장 과학기술성 분석
Ⅰ. 분석대상 및 기술군
Ⅱ. 정부 연구개발 과제데이터 분석
정부 연구개발 투자 규모
연구개발 핵심 영역 분석
연구개발 단계 분석 (정부 R&D 역할)
지역별 연구개발 현황 분석
주요 수행주체 및 상위 연구기관 분석
키워드 분석
5장 결 론
◈본문
Ⅰ. 배경
1.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4차 산업혁명·5G의 첨단화된 솔루션, 스마트농업
• 농업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산업이자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핵심 산업임. 4차 산업혁명 기술1) 의 핵심 기술과 5G2) 기술의 적용과 융합으로 기존의 반복적이고 노동집약적인 농업에서 더욱 정밀하게 자동화되어 고효율과 고수익을 제공하는 지능화된 농업으로 매우 빠르게 진화하고 있음.
• 스마트농업(Smart agriculture)은 환경조건과 작물·가축의 생육 및 농작업·경영 등 농업 생산활동 전주기를 자동 측정하고,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첨단화된 농업 밸류체인 (생산·유통·물류·소비) 시스템 전반에 접목되어 농업 전체의 스마트화를 이루는 개념임.
• 세계 최대의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2’3)에서 초연결·초융합·초지능으 로 요약되는 차세대 기술혁신 분야로 스마트농업 분야의 ‘Agritech (Agriculture technology, Agtech)’기술을 주목함. 미국의 글로벌 선도기업존 디어(John Deere)는 완전 자율주행 트랙터를 선보였으며, 로봇 공학 부문 및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기술 부분 등에서 다수의 CES 혁신상을 수상함.
• 그 외에도 포도밭 부문에서는 프랑스 나이오테크놀로지스(Naio Technologies)가 자율 농업 로봇인 ‘Ted’를 선보였으며, 가정용 스마트팜 재배 장치 및 기기 부문에는 인도 알티팜(Altifarm)의‘Enverde’,‘Pico’, 터키 바하의 스마트가든 등이 출품되었음. 도심형 식물농장(수직농장) 부분에는 프랑스 아그로브(Agrove), 이탈리아 헥사그로(Hexagro), 미국의 그로브(Grove) 등이 다양한 제품을 선보임. 해외 글로벌 기업의 다양한 Agritech 제품과 더불어 두산로보틱스의 농업 협동로봇시리즈, LG전자의 스마트 식물재배기‘틔운(Tiiun)’, 엔씽의 컨테이너 농장‘큐브(Cube)’등 국내 기업의 다양한 스마트농업 제품 및 기술이 소개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23년 국내 주요 산업 전망(제약·바이오>바이오시밀러 기회요인에도 산업 전반 성장세 둔화)
-
다음글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22-25호]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안보 위한 기후서비스의 중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