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식물기반 단백질 배양육 시장의 현황과 미래 전망

  • 등록일2023-01-13
  • 조회수301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23-01-04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배양육#식물단백질
  • 첨부파일
    • pdf 0104 KREI논단(식물기반 단백질 배양육 시장의 현황과 미래 전망... (다운로드 21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식물기반 단백질 배양육 시장의 현황과 미래 전망

 

◈ 목차

⑴ 서론
⑵ 식물기반 단백질

- 해외시장 동향

- 국내시장 동향

- 시장 전망과 대응방안
⑶ 배양육

- 해외시장 동향

- 국내시장 동향

- 시장 전망과 대응방안

 

◈본문

이정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세계 인류는 2021년 78억 명에서 2030년에는 85억 명으로 연평균 0.8% 증가할 것으로 전망(UN 2019)되며이에 따른 축산물 소비량은 같은기간 동안 332600만 톤에서 3억 6천 600만 톤으로 매년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OECD-FAO). 그러나 기존 관행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축산물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이에 대한 대책 중 하나로 대체 단백질이 제시되고 있으며특히 주목을 받는 분야로 식물기반 단백질과 배양육을 들 수 있다.

기존의 관행적인 육류 생산 방식에 대한 환경오염과 가축전염병 발생에 따른 식품 안전성에 대한 의문점이 사회적으로 제기되면서 기존 육류 생산 방식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식물기반 단백질과 배양육 관련업계는 제품 제조에 필요한 환경부하·에너지투입 측면에서 기존 육류보다 효율적이며식품안전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는 점을 마케팅 포인트로 강조하면서 자사 제품을 홍보하고 있다이같은 추세는 우리나라뿐만이 아닌 전 세계적인 기류이며대체 단백질 시장이라는 차세대 신규시장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이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정부 역시 대체 단백질 육성방안을 발표하여 시장확대 및 선진국 수준의 기술확보를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구체적으로 살펴보면정부에서는 육류 모사 가공 기술세포배양기술 등에 대한 R&D 투자 및 지원방안을 발표하였으며 2050탄소중립위원회는 농축수산부문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해 대체가공식품(배양육식물성분 고기곤충원료 등기술 개발 및 이용확대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대체단백질 시장이 성장하고 제품소비가 일반화될 경우 이는 기존 축산물에 대한 수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해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본 원고에서는 식물기반 단백질과 배양육 시장 현황과 미래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