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복합 위기의 시대가 불러온 변화, 유럽 주요국 소비트렌드 동향
- 등록일2023-01-18
- 조회수254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1-10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복합 위기#유럽#소비트렌드#유럽시장
- 첨부파일
복합 위기의 시대가 불러온 변화, 유럽 주요국 소비트렌드 동향
◈ 목차
제1장 유럽 시장 환경
제2장 유럽 소비 트렌드 현황
제3장 서유럽
① 독일
② 프랑스
③ 영국
④ 네덜란드
⑤ 벨기에
제4장 동유럽
① 폴란드
② 체코
③ 슬로바키아
④ 불가리아
제5장 남·북유럽
① 스페인
② 이탈리아
③ 스웨덴
◈본문
1. 유럽 시장 환경
□ ‘22년 유로존 경기, 러-우 사태 및 인플레이션 등의 여파로 불확실성 가중
◦ (러-우 사태) 에너지 대란 등에 따라 에너지 절감 필요성 증대
- 러시아는 ’20년 기준 EU 전체 에너지 공급*의 24.4% 담당
* 특히, 천연가스의 의존도가 41.1% 도달 (Eurostat, ’22년)
- ‘22년 에너지 가격이 전년 대비 40.8% 폭등
◦ (인플레이션) 원자재가 상승 및 공급망 교란 문제로 유로존 인플레이션급등*
* ’22년 10월 유로존 인플레, ‘97년 집계 이후 최고치(10.7%) / 獨(11.6%), 伊(12.5%) 등
□ ’23년 유로존 GDP 전년 대비 0.5% 증가, 느린 성장 이어갈 전망(IMF)
◦ (내수) 물가 급등·에너지 위기·통화 긴축정책*에 따라 ’22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경기회복 흐름 약화**, ’23년 민간 소비(↑0.7%) 및 투자(↑0.7%) 소폭성장 예상
* 유럽중앙은행, ’22.7월 인플레이션 리스크 확대를 근거로 11년 만에 금리 인상조치(0% →0.5%), 이후 5개월 만에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3차례 단행하며(2.5%, ’22.12월) 긴축 행보 유지
** 분기별 유로존 GDP 성장 추이 및 전망(%) : 0.6(’22.1Q) → 0.8(’22.2Q) → 0.2(’22.3Q) → △0.2e(’22.4Q) → △0.1e(’23.1Q) / ECB ’22.12. 전망치
◦ (실업률) 고용 호조로 ’22년 9월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6.6%)하였으나, ’23년 역내 경기둔화 움직임에 따라 산업 및 소매 분야 중심으로 노동 수요 감소 전망*
* 유로존 실업률 추이 및전망 (%) : 6.9(’22.1월) →6.6(’22.9월)→6.9e(’23년) / ECB ’22.12. 전망치
◦ (교역) 세계 경기둔화에 따른 역외수요 감소, 에너지 가격급등, 공급망 차질 지속 등 교역 여건 악화*로 ’23년 유로존 수출입은 전년 대비 각각 2.9%**, 3.1% 증가에 그칠 전망
* 세계무역기구, ’23년 세계 교역량 전망치를 전년 대비 3.4%(’22.4월) → 1.0%(’22.10월) 대폭하향
** ’23년 유로존 수출 증가율 전망치, ’22.9월 전망 대비 0.9% p 하향 조정(’22.12. ECB)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