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ASTI Market Insight 115: 식물성 대체육

  • 등록일2023-01-30
  • 조회수291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23-01-17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대체육#비건#배양육
  • 첨부파일

 

 

ASTI Market Insight 115: 식물성 대체육

 

◈ 목차 

1) 시장의 개요

2) 정부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4) 분석자 인사이트 

 

◈본문

1) 시장의 개요

 산업의 발전과 함께 현대인의 식생활도 변화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금까지 주로 가축을 통해 생산되던 육류가 아니라 콩대두밀 등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단백질 재료를 이용해 개발한 식물성 대체육 식품이 급부상하고 있다특히 동물 복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비건1) 인구의 증가로 식물성 대체육이 식량 자원화 시장으로 확대해 발전하고 있다.

 대체육은 1896년에 존하비켈로그(John Harvey Kellogg)가 땅콩을 재료로 대체육을 개발한 이후 꾸준히 발전해 2040년이 되면 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을 포함할 경우 전체 육류 시장의 60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이유는 가축을 통해 육류 1 kg를 생산하는데 약 10 kg의 곡류와 대량의 물(쇠고기 8,700 리터돼지고기 6,000 리터닭고기 4,300 리터)이 필요하며가축을 키우는데 발생하는 대량의 메탄 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으로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혼합하고 식물성 고기를 반죽해 제조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해 단백질 구조 변성과 섬유질 단백질 구조를 형성해 원하는 육류 제품을 가공하는 과정을 거쳐서 식물성 대체육이 최종적으로 생산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