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키워드로 보는 2023년 국제의료 트렌드 분석 보고서
- 등록일2023-01-31
- 조회수281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1-1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치료기기#엔데믹#비대면#마이데이터#관광의료
키워드로 보는 2023년 국제의료 트렌드 분석 보고서
◈ 목차
I. 연구개요
II. 키워드도출
III. 2023년 국제의료 트렌드 Top5
1. 일상으로의 회복, 엔데믹
2. 시·공간 제약을 넘는 진료 혁신, 비대면의료
3. 개인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4. 엔데믹 시대, 의료관광의 재도약, 의료관광 회복
5. 디지털 기반 환자 치료 영역의 확장, 디지털치료기기(DTx)
Ⅳ. 추가키워드_지속가능한 미래가치 실현, 보건의료 ESG
Ⅴ. 전망 및 시사점
◈본문
1. 연구개요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약 6억 4천만 명의 감염자와 약 662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2022년 11월 20일 기준),1) 이로 인해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음
○ 팬데믹으로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의 개발이 가속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세계적인 백신접종률 향상과 동시에 코로나19의 감염 확산과 진정 국면이 반복되면서 코로나19는 감염병의 풍토병화(Endemic) 단계에 접어들고 있음
- 2023년 1월 기준, 전 세계 총 접종은 약 132억 회분으로 집계 되었으며, 접종
완료 비율은 69.2%로 나타남2)
○ 코로나19 확산 방지 등을 위해 세계 각국은 비대면의료 활용을 확대하였으며, 의료 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이 더욱 중요시됨에 따라 보건의료분야는 디지털화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3)
-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의료 디지털화는 2022-2029 CAGR 14.3% 성장하여 2029년에는 약 983.9억 달러 기록이 전망됨4)
-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의료 인공지능 CAGR 37%, 의료빅데이터 CAGR 18.2%, 디지털치료기기 CAGR 26.1% 성장이 전망됨5)6)7)
○ 또한, 팬데믹으로 인한 국가 간 이동의 제한이 완화되면서 의료관광 산업은 회복세에 접어들었으며, 세계 의료관광 시장 규모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8)
- 2022년 12월 기준, 외교부에 따르면 백신접종 증명서,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를 해제한 국가는 58개국에서 89개국으로 증가함9)
- 2019년 대비 2021년 국제 여행객 수가 70% 감소하였으나,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국제 여행객 수가 팬데믹 이전 수준의 62%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1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