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82] 국내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현황 및 해외진출 유형 개발
- 등록일2023-02-01
- 조회수2960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1-1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메디클러스터#바이오클러스터#산학연
[보건산업브리프 Vol. 382] 국내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현황 및 해외진출 유형 개발
◈ 목차
I .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개요
Ⅱ. 국내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현황분석 및 유형분류
Ⅲ. 국내 클러스터 해외진출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및 제언
◈본문
1.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의 정의
⊙ 클러스터의 기능 및 생태계
- (클러스터의 의미) 부가가치 창출의 생산사슬에 연계된 기업과 대학·연구기관·지식제공기업 등 지식생산기관, 지식집약사업서비스·컨설턴트 등의 연계조직, 고객의 네트워크 중심의 집합체
- (클러스터의 기능) 혁신주체간의 집단학습 및 혁신 지원제도와 창업지원제도 등을 통해 지역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세계적 수준의 혁신 성과 창출, 확산, 활용하는 거점 수행(신경제연구원, 2017)
- (바이오·의료산업 생태계) 생태계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가치창출을 통하여 기초연구의 아이디어가 상업화 가능한 제품 생산으로 이어지는 지속적·순환적 구조
⊙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의 개념 정립 및 정의
-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의 개념 정립) 메디클러스터, 바이오클러스터 등 다양한 용어가 유사하게 혼용
* 메디클러스터 : 병원, 대학, 연구소, 제약·의료기기 기업 등 전후방 산업의 다양한 주체들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협력하는 혁신 네트워크
** 바이오클러스터 : 대학과 연구소가 클러스터의 중심으로 제약기업, 바이오벤처, 관련 지원서비스 기업간의 연계가 이뤄지는 구조
-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정의) 병원이 클러스터의 중심축으로 대학과 관련연구소, 제약기업,
바이오벤처(스타트업), 관련 지원서비스기업 간의 연계 및 상호작용이 이루지는 네트워크 결합체 개념으로 정의
2.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구성요소
⊙ 클러스터를 성공을 위한 구성요소 : 병원·대학(연구소)·기업·공공기관 (산·학·연·병)
- 병원이 임상시험 지원 및 중개연구를 수행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이 기초연구와 우수 인력을 양성·배출, 기업이 사업화와 기술개발, 제품생산을 하고, 공공기관(지자체)이 제도적 기반과 지원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
* 4대 핵심 플레이어의 참여와 이들 간의 유기적 협력시스템 구축이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조성의 성공요소
⊙ 병원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협력·연계(Collaboration)하는 네트워크 생태계
① 병원(연구중심) : 연구중심의 대학병원이 구심점 역할
② 대학 : 우수한 인재양성 및 산업체 수요 중심 인력공급
③ 연구소 : 바이오 관련 R&D 기능을 수행
④ 기업(산업체) : 제약, 의료기기, 바이오 기업이 입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제도동향 [KISTEP InI Vol.46 / Autumn 2023] 창의와 도전,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정부R&D 제도혁신 방안의 주요 내용 및 의의 2023-10-25
-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69] 주요 국가별 정부주도형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및 시사점 2022-11-17
- 제도동향 특허박스제도 도입,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에 도움될까? 2021-11-02
- 정책동향 바이오클러스터 정책 진단과 지역주도 혁신성장 방향 2021-05-21
- 산업동향 국내 주요 바이오클러스터바이오의약 기업 인력 현황 및 파이프라인 분석 2017-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