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바이오헬스 산업의 주력산업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 등록일2023-03-02
- 조회수305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자료발간일
2023-02-13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헬스
- 첨부파일
바이오헬스 산업의 주력산업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기술분야/산업 유형별 정부역할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제3장 국내 주력산업 발전 사례 분석
제4장 해외 바이오헬스 주력산업화 사례 분석
제5장 주력산업 발전 사례를 통한 주력산업 발전 모델의 특징 분석
제6장 국내 바이오헬스 정책·투자 동향 및 이슈
제7장 국내 바이오헬스 주력산업화 수준 진단 및 경쟁력 분석
제8장 바이오헬스 주력산업화를 위한 정부지원 모델 및 정부역할 도출
제9장 결 론
◈본문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가. 추진배경
□ 바이오헬스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바이오헬스 산업은 타 분야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로, 많은 국가들에서 바이오 관련 기술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ㅇ 의약품/의료기기 산업의 시장 규모는 꾸준한 상승세가 예상되고,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시장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
- 글로벌 제약시장 규모는 2019년 1조 2,504억 달러에서 2024년 1조 5,700억 원~ 1조 6천억 원 규모로 연평균 3~6%씩 증가 예상(IQVIA Market Prognosis, 2019)
-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18년 3,899억 달러로 전년 대비 8.2%로 증가하였고, 2022년에 4,868억 달러를 전망(의료기기산업 분석 보고서, 2019)
-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16년 960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이후 연평균 21.1% 성장률을 보이며 2020년에는 2,060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Allied Market Research, 2016)
ㅇ 주요 선진국들은 데이터, 인공지능(AI) 기술의 접목을 통해 바이오산업의 고도화 및 바이오를 통한 타 산업 고도화 등을 강조하면서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 우리나라 바이오분야 정부R&D 투자는 제1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1994~2007) 수립을 계기로 1994년 536억 원에서 2020년 4조 1,253억 원으로 약 77배 증가
ㅇ 바이오분야 누적 집행액은 45조 6,677억 원, 연평균 증가율 11.1%로 꾸준히 증가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육성·지원 방안이 R&D투자로 꾸준히 이어지면서 기술을 축적한 결과가 가시적인 성과로 나오고 있음
ㅇ 정부는 2017년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바이오경제를 주도하는 글로벌 바이오 강국 실현’을 목표로 하는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를 발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