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그린바이오 3대 유망 분야별 기술 특성을 고려한 신산업 육성 방안

  • 등록일2023-03-13
  • 조회수348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23-02-2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그린바이오 #신산업
  • 첨부파일
    • pdf ★기관고유★그린바이오+유망분야별+기술특성을+고려한+신산업+육성... (다운로드 30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그린바이오 3대 유망 분야별 기술 특성을 고려한 신산업 육성 방안


◈ 목차

1장 서 론

2장 그린바이오 3대 분야 중점기술 분류체계 마련

3장 그린바이오 3대 분야 민간 역량 및 경쟁력 분석

4장 그린바이오 3대 분야 산업생태계 여건 진단

5장 그린바이오 3대 분야 국내외 R&D 추진 현황

6장 그린바이오 신산업 육성 방안 도출

7장 결 론


 

 

◈본문

2. 연구필요성 및 목적

□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 기반의 그린바이오 기술은 타 분야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신산업 창출 가능성이 높으며특히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성장한 그린바이오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

□ 그린바이오 산업은 IT, BT 등 관련 기술과 융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으로 미국유럽 등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2배 이상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그린바이오 관련 정부R&D 성과가 산업화 등 경제적 성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으며국내 관련 기업들의 기술개발 및 산업화 역량은 취약

ㅇ 우리나라는 농업 유전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으나, IT·BT 기반의 그린 바이오 분야 산업화 기술은 최고 선도국 대비 75~80% 수준으로 경제적성과 창출 저조

ㅇ 그린바이오 분야는 식품종자미생물 등 소재 개발 중심의 R&D가 진행되었으나식품 산업을 제외하고는 관련 산업의 국내 시장의 성장 규모가 제한적

□ 그린바이오 신산업 육성 관련하여 기존 연구된 결과가 정부 정책과 전략으로 연계되는데 필요한 중점기술 분류체계 기반의 민간 기술개발역량과 경쟁력 진단산업 생태계 현황 파악 등은 미흡함

□ 그린바이오 유망분야-중점기술 단위에서의 민간 기술개발역량과 경쟁력 진단을 위한 정량적인 분석과 산업 생태계 여건 진단 등이 수행될 필요

□ 본 연구에서는 그린바이오 유망분야별 기술 특성을 고려하여 민간의 기술 개발역량과 경쟁력 진단국내 관련 기업 등 산업 생태계 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그린바이오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 방안 제시가 목적

 

3. 연구 내용 및 범위

□ 그린바이오 유망분야별 기술 특성을 고려하여 민간의 기술개발역량과 경쟁력 진단국내 관련 기업 등 산업 생태계의 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그린바이오 신산업 육성방안을 제시

ㅇ 그린바이오 3대 분야별 기술로드맵 수립 연구와 본 연구진의 선행연구에서 마련된 그린바이오 분야별 분류체계를 토대로 그린바이오 분야-중점기술 분류체계 정비

ㅇ 식물성대체육/배양육가축백신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그린바이오 기술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허 데이터를 이용한 그린바이오 유망분야별 정부/민간 주체의 기술개발역량과 경쟁력 분석

ㅇ 식물성대체육/배양육가축백신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국내 그린바이오 기업 현황 분석 및 현장 의견수렴 등을 통해 산업 생태계의 여건 및 산업성장의 저해 요인 진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