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 등록일2023-03-28
  • 조회수286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환경
  • 자료발간일
    2023-03-14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농업 #소재농업
  • 첨부파일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 목차

1장 서론

2장 바이오소재산업과 바이오소재농업 현황

3장 바이오소재산업의 바이오소재농업 파급효과

4장 바이오소재농업 성장을 위한 요구 분석

5장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본문

요 약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농업의 새로운 활로 모색을 위해 바이오산업과 연계된 바이오소재농업의 활성화 방안 도출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첫째바이오소재산업의 국내외 현황 분석과 이와 연계된 바이오소재농업의 국내 현황을 분석한다둘째바이오산업의 성장이 바이오소재농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며셋째바이오소재농업의 연계지원 정책과 제도를 살펴본다넷째바이오소재농업계의 성장을 위한 요구사항을 진단하고마지막으로 바이오소재농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은 바이오소재로 활용되는 원료(소재)를 생산하는 농업인 바이오소재농업이다. ‘바이오소재농업을 분석하기 위하여 바이오소재농업의 전반적인 현황과 세부적인 사항을 살펴보기 위해 대표 품목인 약용작물(인삼과 차 포함)과 산업용 곤충(애완용과 축제용 곤충 제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두 품목을 선정한 이유는 첫 번째로 바이오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품목으로 농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생산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농가 조사가 가능하며두 번째로는 바이오소재로 수요가 높아 기업과의 연계성이 높아 기업 조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세 번째 이유로는 관련 통계 수집이 가능해 현황 파악과 파급효과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 바이오소재산업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바이오소재산업바이오소재농업의 배경관련 정책과 제도국내외 사례들을 정리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을 조사하였으며산업 현황 및 실태 파악을 위해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이와 함께 바이오소재농업의 문제점과 기업과 농업인 간의 역할과 협력 방안 도출을 위해 산업체정책담당자학계 등 관련 전문가와 농업인들에 대한 면접과 설문조사와 함께 현장확인 및 사례조사를 병행실시하여도출된 활성화 방안의 현실적용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아울러 계량분석을 통해 바이오소재산업의 발전이 바이오소재농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을 시행했으며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의 바이오소재산업 활성화 정책 및 제도를 분석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