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식의약 R&D 이야기 (대체식품)

  • 등록일2023-05-10
  • 조회수3264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5-03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대체식품
  • 첨부파일

 

 

대체식품

식의약 R&D 이야기

 

◈ 목차

1장대체식품에 대한 이해

2대체식품 최근 동향

3대체식품 기술개발 현황

4대체식품 정책 동향

5대체식품 관련 이슈


 

 

◈본문

01 대체식품에 대한 이해

 

1.1 대체식품의 개념


[대체식품 정의]

◼ 대체식품은 동물성 단백질을 대체한 식품을 의미하며 식물성 고기곤충단백질

식품세포기반식품 등을 포함1)

∙ 육류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식품으로 초기에는 콩고기’ 또는 인조고기라고 지칭되었으나식품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실제 육류와 비슷한 식감향미를 갖추게 되며 대체식품으로 통용2)

현재 글로벌 추세는 환경의 지속가능성·개인의 건강관리를 중요시하고 있어비거니즘 및 가치소비 발달로 인해 대체식품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대되어 식품산업 내 주요 트렌드로 부상

∙ 전세계적으로 대체식품에 대해 합일된 개념은 없어 연구자별기관별 정의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

- (Good Food Institute) 대체식품(대체단백질)이란 식물이나 동물 세포또는 발효를 통해 생산하는 식품으로기존 동물성 제품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맛을 내면서 가격이 같거나 낮도록 생산되는 식품

- (Melbourne Univ.) 대체식품이란 식품 기술을 활용하여 동물성 단백질을 대체하는 대안이 되는 식품으로곡물견과류와 같은 식물곰팡이(버섯), 조류곤충 등으로 만든 고기와 세포기반식품을 포함

∙ 최근 식약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서 대체식품에 대한 정의를 규정3)

식약처는 대체식품의 정의와 기준·규격 신설()을 행정예고 하였으며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합리적 표시방안 등을 담은 대체식품 표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8월경)이라고 발표

식약처는 농··수산물 등으로 한정된 식품원료 인정 대상에 세포배양 등 신기술을 이용한 미래식품 원료까지 확대하는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세포기반식품에 대한 안전성 평가 방안을 준비 중4)

 

대체식품이란?

- ‘동물성 원료 대신 식물성 원료미생물식용곤충세포배양물 등을 주원료로 사용해 식용유지류(식물성유지류 제외),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알가공품류유가공품류수산가공식품류기타식육 또는 기타알제품 등과 유사한 형태조직감 등을 가지도록 제조하였다는 것을 표시해 판매하는 식품’(식약처식품의 기준 및 규격」 행정예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