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베트남 자가혈당측정기 시장 동향

  • 등록일2023-05-19
  • 조회수272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3-05-15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자가혈당측정기 #베트남
  • 첨부파일

 

 

베트남 자가혈당측정기 시장 동향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의료비 지출 확대

당뇨 환자 증가로 시장 확대 예상

 

◈본문

당뇨 환자 증가로 시장 확대

 

베트남의 자가혈당측정기(이하 '혈당측정기') 시장 규모는 단독으로 집계된 공식 통계가 없어 산출이 어렵지만베트남의 당뇨 발병률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2021년 베트남 보건부(MOH)의 통계조사에 따르면 성인 당뇨 환자는 약 5백만 명으로전체 당뇨 환자 중 약 7.1%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베트남 당뇨 환자의 55% 이상이 현재 합병증을 앓고 있으며이 중 34%는 심혈관 합병증, 39.5%는 안과 및 신경계 합병증, 24%는 신장 합병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당뇨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의 자료는 이와 상당히 유사하다베트남 인구 중 20~79세 당뇨 유병률은 2011 3.2%에서 2021 6.1%로 증가했다아직 당뇨 진단 검사가 보편적이지 않아 당뇨 환자 수에 대한 통계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나아래 표와 같이 아세안 지역의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베트남의 당뇨 환자 비율은 아직 낮은 편이다.

 

<2021년 아세안 국가 20~79세 인구 중 당뇨 유병률>

(단위: %)

2021년 아세안 국가 20~79세 인구 중 당뇨 유병률

[자료: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국제당뇨연맹에 따르면 2021년 베트남 임신성 당뇨 유병률은 21.8%로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임신성 당뇨는 보통 대도시에서 발견되는데이는 도시 지역 의사들은 임신 24~28주경 임신부들에게 포도당 내성 검사를 하도록 안내하는 반면시골 지역에서는 임신성 당뇨의 명백한 증상이 없는 한 이 검사를 별도로 안내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베트남 내 당뇨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혈당 수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또한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환자들이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어려운 환경이 형성되었고이에 따라 집에서 혈당 수치를 검사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 시장에 새로운 기회가 열렸다.

 

혈당 측정기 시장은 당뇨에 대한 인식 변화에 힘입어 최근 몇 년간 성장해 왔다새로운 기술 혁신과 사용 편의성 덕분에 당뇨 및 당뇨 전단계를 진단받은 환자가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데 더 신경 쓸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혈당측정기 및 연속혈당측정기는 국가 공공의료 보험 계획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이들 제품에 대한 지출은 당뇨 환자에게 상당한 비용 부담을 안겨주므로 시장 확대에 대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최대 고객은 개인

 

혈당측정기의 최종 사용자는 병원진료소약국 및 개인이다특히 일반 가정에서도 채혈 후 혈당 측정 판독 값으로 처치 효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개인이 사용하는 가정용 측정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혈당측정기는 짧은 시간에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소규모 진료소에서도 매우 인기 있다일부 약국은 고객 관리 서비스의 일종으로 혈당 수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기기를 갖추고 있다한편이러한 일반 혈당측정기보다 정맥혈 채취가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병원에서는 자가혈당측정기보다 혈구계산기(Hematology analyzer)를 사용한다따라서 일상적으로 혈당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자가혈당측정기를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혈구계산기를 사용하므로 자가혈당측정기 시장의 가장 큰 고객층은 개인 구매자가 된다.

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용자의 대다수가 중장년층으로기본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그들에게는 정확도가 최대 관심사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