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해외 주요 바이오 CDMO 2022년 경영 실적

  • 등록일2023-05-22
  • 조회수325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해외 주요 바이오 CDMO 2022년 경영 실적


◈본문

□ ‘22년 기준 글로벌 바이오 CDMO 시장 202억 달러전년 대비 14.1% 성장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Frost & Sullivan 자료에 따르면 ’22년 글로벌 바이오 CDMO 시장은 전년 대비 14.1% 성장한 202억 8,000만 달러를 기록함. ‘22년부터 ’28년까지 연평균 15.3%로 증가세로 ‘28년에는 47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코로나19 팬데믹은 의약품 공급 부족을 야기했지만글로벌 제약기업들은 비용과 효율성을 위해 개발 및 제조 프로세스를 전략적 위치에 유지하는 라이트 쇼어링(right-shoring)을 채택하였으며, CDMO는 이러한 제약기업의 공급망 회복탄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또한주요 바이오 CDMO 기업들은 공격적인 인수 및 생산능력 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현금 흐름을 보장하고 성장을 지속하는 요인이 될 것임.

분야별로 보면바이오의약품 개발임상 제조 및 상업적 제조에 대한 전문지식과 민첩성을 필요로 하는 항체치료제세포·유전자치료제(CGT) 및 mRNA와 같은 분야의 파이프라인이 계속해서 성장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됨.

- ‘22년 기준 매출면에서 Lonza는 글로벌 전체 점유율 20.7%로 시장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삼성바이오로직스, Wuxi Biologics,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Catalent를 비롯한 주요 바이오 CDMO 플레이어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


□ ‘22년 기준 해외 주요 바이오 CDMO 경영 실적

❶ 위스 Lonza

- Lonza는 ‘22년 기준 바이오 CDMO 전체 시장 점유율 20.7%로 시장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Lonza의 바이오로직스 사업부의 ’22년 매출은 코로나19 매출에 힘입어 ‘21년 대비 21.7% 증가한 32억 7400억 스위스프랑 달성

- ’22년 Lonza는 약 115개의 신규 고객과 약 375개의 신규 임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광범위하고 균형있는 CDMO 고객 포트폴리오를 계속 확장하고 있음.

❷ 중국 Wuxi Biologics

- Wuxi Biologics는 ‘22년 152억 6,870만 위안의 매출로 ‘21년 대비 48.4% 증가고유한 CRDMO(Contract Research and Development manufacturing organization services) 모델을 구축하고, ADC 및 이중특이항체(Bispecific Antibodies)와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기술 플랫폼 도입을 통해 수익 지속 창출 중

❸ 일본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 Fujifilm은 ‘22년도 전체 매출 성장에 가장 큰 요인으로 덴마크에 소재한 바이오의약품 공정 개발 및 제조(CDMO) 성장으로 보았으며바이오 CDMO 사업은 전년대비 29.2% 증가한 1,940억 엔을 기록하였음.

- Fujifilm의 바이오 CDMO 자회사인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FDB)는 현재 240,000L 바이오리액터 생산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16억 달러의 투자 프로젝트를 통해 ’26년도까지 160,000L를 추가할 계획임.

❹ 기타 해외 주요 기업

- Catalent는 공격적인 인수와 생산용량 확장으로 바이오 CDMO 매출 상위기업에 진입하였으며모더나社 하고는 코로나19 백신 이외에도 독감 및 RSV 백신으로 협력을 확대하고 있음한편최근 Catalent는 유전자치료제 등을 생산하는 3개 제조시설에서 생산성 이슈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매출에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생명과학기업인 Danaher의 Catalent 인수에 관한 관심도 흐지부지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기타 Thermo Fisher, AGC Biologics 등의 기업들도 바이오 생산용량을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mRNA 및 CGT 개발에 필요한 플라스미드 및 바이럴벡터 생산용량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