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국의 COVID-19 공중보건위기 종식와 그 여파
- 등록일2023-06-14
- 조회수247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6-1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COVID-19#의료서비스#헬스케어
- 첨부파일
미국의 COVID-19공중보건위기 종식과 그 여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73
◈ 목차
◈ 포커스
- 미국의 COVID-19 공중보건위기 종식과 그 여파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미국 FDA, 분산형 임상시험을 위한 지침 초안 발표
- Intuitive Surgical社, 로봇수술 확대로 올 1분기 급성장 중
- 독일 Stark-Watzinger 장관, 슈퍼세균 예방, 진단, 치료에 새로운 접근 방식 시급
- Sanofi와 BARDA, 펜실베이니아에 추가 독감백신 공장 착공
- ’23년 일본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 마스크 착용 완화로 전년대비 2% 증가 전망
- 中 쳰잔산업연구원, 중국 원료의약품 시장 수급동향 분석
- APEC, 라틴 아메리카에 바이오 치료제 및 세포·유전자 치료 역량 구축
- 신흥 치료제, 새로운 지평으로 확장
◈ 의료서비스
- 미국, COVID-19 공중보건 비상사태 종료 및 후속 조치 발표
- 캐나다 보건부 등, 감염병혁신연합에 1억 달러 투자
- 튀르키예, 의료관광 수입 200억 달러까지 확대 가능
- 일본, 새로운 팬데믹 대비는 의료기관의 기능분화 및 ICT화가 핵심
- 홍콩, 극심한 인력부족이 의료 관광 유치에 가장 큰 장애 요인
- ’22년 인도를 찾은 의료관광객 수는 140만 명
- 의료관광 지출, ’32년 1,280억 달러 초과 전망
- WHO, COVID-19 글로벌 전략적 준비 및 대응 계획 발표
◈ 디지털 헬스케어
- Akili의 치료용 비디오 게임, 성인 ADHD 증상 개선에 효과적
- 미국 마운트시나이 아이칸의대, 애플워치 데이터에 기계학습을 적용해 심리상태 파악
- 미국 Children’s Mercy와 GE Healthcare, AI에 기반한 ‘환자 진행 허브’ 출범
- 일본 의료·헬스케어 DX시장, ’30년 약 5,207억 엔 규모로 성장 전망
- 호주, IT 기반의 노인 간호 서비스 inTouch를 확대 실시
- COVID-19 종식을 위한 APEC 국가들의 디지털 정책 조치
- 인간과 AI 에이전트의 최적의 조합을 통해 의료제공자 경험 제고
- VC 투자, 파트너십, 인수합병 등 디지털 병리 시장 분석
◈본문
■ 미국 정부는 ’20년 1월 COVID-19 공중보건위기(public health emergency, PHE)를 선언
○ 미국 정부는 다양한 패키지 입법 활동을 통해서 4.4조 달러의 예산을 투입하고 200여 건의 규제 면제 조치를 추진하는 등 공중보건을 지키고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전례 없는 조치를 실행했으며, 이를 통해 미국의 공공 보건의료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행사
○ (백신) 미 연방정부는 백신의 개발, 생산, 조달, 보급 등에 총 300억 달러의 자금을 투입하고 전례없는 신속 승인절차를 통해 ’21년 초 와프스피드작전(Operation Warp Speed) 하에서 3건의 백신을 승인
○ (검사) 연방정부는 검사(testing) 및 추적(tracing)에 500억 달러의 자금을 투입했으며, 보험미가입자, 학생, 일반 가정에서의 검사 활동 또한 지원
○ (치료) 연방정부는 ’22년 1, 2월 중 미국 내에서 총 250만건의 치료를 지원하는 한편, 치료법의 개발과 제약, 신속 승인절차 운영, 조달 및 유통 등을 지원
○ 이 밖에 보조금 제공, 의료서비스 제공 모델 상의 유연성 강활 등을 통해 의료기관을 구제함으로써 그 접근성을 높이고,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를 포함한 의료보험 보장범위를 강화
■ 3년이 경과한 지금 미국 정부는 ’23년 5월 11일을 기해 PHE 종식을 선언했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 위기 대응 차원에서 시행됐던 다양한 관련 조치를 단계적으로 중단시켜 나가는 중
○ 단, 미 의회 등이 원격의료 관련 메디케어 혜택, 급성질환 재택치료 프로그램(Acute Hospital Care at Home) 등을 ’24년까지 연장키로 하는 등 일부 조치에 대해서는 시한을 연장
○ 그러나 이들 일부 조치를 제외하고는 연방정부는 대다수의 보조금 제공을 줄여나가고, 제도적 지원 이니셔티브를 중단
○ 주정부가 일반 주민의 (자격에 구애받지 않는) 메디케이드 가입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연방정부가 제공했던 6.2% 예산 인센티브도 폐지했으며, ’23년 4월 현재 미 의회는 주정부가 가입자격을 재조정토록 허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정책동향 2020~2023 핵심 바이오헬스정책연구 2025-02-14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24] 영국, 민간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의료관광객 800% 급증 2024-09-06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4]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 앱을 통해 100명의 생명을 구하다 2024-07-02
- 정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2] 미국 AI 정책 로드맵: 의료분야 데이터 거버넌스 투자 강화 필요 2024-06-20
- 정책동향 COVID-19 사회적 대응 결과 분석 및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적용 가능한 정책 대응 방안 연구 2024-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