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동향 Vol.03

  • 등록일2023-08-03
  • 조회수314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동향 Vol.03

Global Pharmaceutical & Bio Report

 

◈ 목차

1. 시장

2. 기술 

3. 기업

4. 정책/규제

5. 국내기업 글로벌 진출현황



[요약]

□ (시장) 글로벌 암 백신(Cancer vaccine) 시장은 암 유병률 증가함에 따라 향후 10년동안 상승세, `23년 90억 달러, `33년 말에는 242억 2,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 많은 연구자들이 치료용 암 백신의 연구가 전환점에 도달, 흑색종, 췌장암, 유방암, 폐암 등을 치료하는 암 백신이 향후 5년 내에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을 것으로 전망

- 영국은 2030년까지 최대 10,000명의 환자에게 mRNA기반 맞춤형 암 백신 제공 및 영국기반 임상 지원을 위하여 독일 BioNTech社와 장기 파트너십 체결

○ (주요 연구 동향) 치료 효능 향상을 위해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표적 요법 또는 화학 요법과의 병용 요법을 통해 반응률과 장기 생존율 개선 도모

- BioNTech, Moderna, Gritstone bio 등의 기업들이 2023 AACR과 ASCO를 통해 암 백신 임상 결과 공유


 (업) 기업주도형 벤처투자(CVC, Corporate Venture Capital)는 2018년부터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VC 거래의 핵심 역할을 수행, 전체 거래의 35%를 차지

- 제약바이오 기업과 의료서비스 기관, 생명·건강 보험 회사 등 관련 산업 기업뿐만 아니라 IT, 부동산, 금융, 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제약바이오 벤처를 지원하는 기업주도형 벤처투자(CVC)를 운영

- 글로벌 제약바이오 CVC가 가장 관심이 있는 기술은 디지털(데이터,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 약물전달, 합성의약품, 세포·유전자 치료제 순


□ 브라질 산업통상서비스부(MDIC, Ministério do Desenvolvimento, Indústria, Comércio e Serviços)는 수출입 허가 간소화를 위한 Flex License 출시 및 새로운 산업정책 지침이 담긴 결의안 발표

○ Flex License는 수출입 및 통관 절차를 유동적으로 재설계하고 시간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대외 무역 탈 관료화 이니셔티브의 일종

- 대외 무역 관련 데이터 중앙 집중화, 통관 및 수출입 처리 기간 단축, 단일 수출입 허가로 복수 거래 허용 등의 내용 포함

○ 국가산업개발위원회(CNDI)에서 새로운 산업정책에 대한 지침을 발표, 현 정부의 4년 임기 동안 1,060억 헤알 투자 예정

- 평등, 일자리 창출, 개술개발 혁신, 생산성 및 경쟁력 향상, 지역 불평등 감소, 지속가능성 확보 등을 원칙으로 공적 의료지원 시스템(SUS, Sistema Único de Saúde) 강화 및 국민의 건강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를 위한 탄력적인 경제-보건산업 복합체 구축 등을 포함한 6가지 주요 산업 목표 설정


  

◈본문


1. 시장

 

□ 치료용 암 백신의 연구가 전환점에 도달, 흑색종, 췌장암, 유방암, 폐암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암 백신이 향후 5년 내에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측(apnews, 2023.06.24.)

○ 암 백신(Cancer vaccine)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암 유병률 증가함에 따라 향후 10년 동안 상승세, `23년 90억 달러, `33년 말에는 242억 2,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omnia-health, 2023.04.28.)


○ 암 백신은 예방 암 백신과 치료용 암 백신으로 분류

- (예방 암 백신)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침입자로부터 방어하는 신체의 자연적 능력을 향상

* 종양이 시작되기 전에 또는 면역억제성 종양미세환경(TME, Tumor Micro Environment)이 확립되기 전에 투여되어 종양의 추가 진행을 억제

- (치료용 암 백신) 암이 발생한 후 치료가 목적으로, 암세포가 지니는 암 특이항원(TSA, tumor-specific antigen)을 암환자에게 투여하여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생체 내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능동적 면역치료법


[ 암 치료용 백신 vs. 예방용 암 백신 ]

암 치료용 백신 vs. 예방용 암 백신


○ 치료유형(therapeutic classes)에 따라 Bacterial, Cellular, Nucleic Acid-Based, Peptide, Protein, Viral 백신 등으로 분류 가능

치료유형에 따른 백신 분류


- (시장성장 요인) 환자 지원 프로그램(PAP, Patient assistance program) 증가, 암 인식에 대한 정부 이니셔티브 증가, 전 세계적으로 암 유병률 증가, 주요 업체의강력한 R&D 이니셔티브, 맞춤형 의약품에 대한 수요 증가(marketsandmarkets, 2023.06.27.)

○ Beacon Cancer Vaccine의 분석에 따르면 2023 ASCO에서는 약 51개(비임상 1, 임상 50), 2023 AACR에서는 54개(비임상 28, 임상 26)의 암 백신 관련 초록이 공개

- (주요 연구 동향) 치료 효능 향상을 위해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표적 요법 또는 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을 통해 반응률과 장기 생존(long term remission) 개선을 도모


□ MSD와 ModernaTX는 2023 AACR과 ASCO를 통해 공동개발 중인 Keytruda(Pembrolizumab)과 mRNA-4157(V940)*의 병용요법 임상(KEYNOTE-942, 2b상) 결과 공개

* (mRNA-4157(V940)) 환자 종양 DNA 서열의 고유한 돌연변이 서명을 기반으로 설계 및 생산되는 최대 34개의 신생항원을 암호화하는 단일 합성 mRNA로 구성된 새로운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 맞춤형 암 백신

* 임상 IIb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FDA로부터 획기적인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2023.02), 유럽 EMA로부터 우선순위 의약품(priority medicines (PRIME), 2023.04) 지정

(pharmaceutical-technology, 2023.06.06.)

○ (KEYNOTE-942) III/IV기 흑색종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무작위 공개 라벨 2b상 시험으로, 환자들은 완전한 외과적 절제 후 질병 재발 또는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날 때까지 약 1년 동안 mRNA-4157/V940(총 9회 용량) 및 키트루다(Keytruda)(최대 18주기[약 1년] 동안 3주마다 200mg)를 투여받도록 무작위 배정

- 1차 종료점은 무재발 생존율이고 2차 종료점은 원격전이 없는 생존과 안전성

○ (1차 종료점) 완전 절제 후 3기/4기 흑색종 환자의 보조 치료에서 키트루다 단독에 비해 무재발 생존(RFS)의 1차 평가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을 입증

- 키트루다와 mRNA-4157/V940의 병용요법은 키트루다 단독요법에 비해 재발 또는 사망 위험 44% 감소(MSD 보도자료, 2023.04.11.)

- 안전성 프로필도 이전에 보고된 키트루다 일치, 중대한 치료 관련 이상반응은 mRNA-4157/V940과 키트루다 병용 투여군에서 14.4%, 키트루다 단독 투여군에서 10% 발생

○ (2차 종료점) 원격전이 또는 사망 위험을 키트루다 단독 투여 대비 65% 감소(HR=0.347 [95% CI, 0.145-0.828]) (pharmaphorum, 2023.06.06.)

○ `23년 내 임상 3상 진행 예정(NCT05933577)


- (2023 ASCO) Aivita Biomedical, BioNTech, Geneos Therapeutics, Morphogenesis, Enterome 등에서 50가지의 임상 관련 초록 제출, 그 중 치료유형별로는 펩타이드 백신, 개발단계로는 임상 2상이 가장 많이 나타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