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M&A 동향 및 시사점
- 등록일2023-08-04
- 조회수2944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자료발간일
2023-06-19
-
출처
KDB미래전략연구소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헬스케어#산업#M&A
- 첨부파일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M&A 동향 및 시사점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배 민 지 (sodam628@kdb.co.kr)
◈본문
◆ 2022년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분야를 포함한 전체 시장이 위축되었으나 , 풍부한 자금력을 지닌 글로벌 빅파마들에게는 오히려 매력적 밸류에이션 기회로 작용하여 2023년에는 바이오헬스케어 M&A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 ◆ 특히 국내 바이오기업은 기업공개(IPO) 시장이 급속도로 냉각되면서 새로운 출구전략으로 M&A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정부 규제 완화가 이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 |
□ 2022년 고물가 고금리 자산시장 냉각으로 인해 글로벌 M&A 시장이 위축 되었으며,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또한 전년대비 거래건수 및 거래액 모두 감소
○ 고금리로 인한 인수금융 금리 부담 확대 자산시장 냉각에 따른 투자 위축 영향으로 글로벌 M&A 시장의 거래건수 및 거래액 모두 전년대비 17% 및 37% 감소
- 전체 M&A 시장 위축에 따라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또한 전년대비 거래건수와 거래액이 각각 23.5% 및 46% 감소하였으며, 거래건수 대비 거래액이 더 큰 비율로 감소한 것은 메가딜* 의 축소에서 기인 ('21년 20건 → '22년 9건)
* 메가딜 : 건당 거래액 100억달러 이상의 M&A 거래
○ '22년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내 최대 규모 M&A는 Amgen(美)의 Horizon Therapeutics(아일랜드 본사, 미국 상장) 인수(인수금액 278억달러)
- 본 거래로 인해 '22년 들어 하락세였던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M&A 시장이 전환점을 맞이
□ 2023년에도 고금리,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침체 지속은 M&A에 위협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나, 오히려 풍부한 자금력을 가진 대기업과 PE 입장에서는 매력적 밸류에이션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 보고서에 따르면, '22년 바이오제약 분야에서만 1조 4,000억달러 이상의 M&A 자금력을 보유
- 지난 몇 년간 빅파마들이 강력한 수익 창출을 통해 풍부한 자금력을 보유하게 된 결과, '22년 11월말 기준 바이오분야 산업의 자금 보유액은 전년대비 11% 증가한 1조 4,000억달러를 기록
- 또한, 시장 조정에 따른 기업 평가가치 하락은 구매자 시장을 형성하여 인수에 대한 인센티브를 증가시킴
- 한편, 소규모 바이오기업의 경우, IPO 및 SPAC 활동이 급격히 둔화되어 M&A를 통해 출구전략을 모색할 가능성이 농후
○ '23년 6월 현재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내 최대 규모 M&A는 Pfizer(美)의 종양 전문 신약 개발기업 Seagen(美) 인수로 총 인수금액은 430억 달러
- 금융데이터 분석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이는 '09년 Pfizer가 경쟁업체인 Wyeth(美)를 680억 달러에 인수한 이래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이며, 코로나 19 이후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간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
- 엔데믹으로 인해 그동안 Pfizer의 매출 증대를 견인했던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판매가 정체되고 있는 만큼 Seagen이 보유한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을 통해 항암제 분야 포트폴리오를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핵심 수익모델을 창출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됨
- Pfizer 사례 외에도 '23년 초부터 대형 M&A가 10건 이상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바이오헬스 기업의 M&A는 매우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
□ 특히 국내 바이오기업은 2022년 하반기 이후 기업공개(IPO) 시장이 급속도로 냉각됨에 따라 새로운 출구전략으로 M&A를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정부 지원 및 규제 완화 등이 M&A 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국내 바이오헬스기업의 M&A 건수는 '22년부터 급증하였으며, 특히 전체 거래 건수의 70% 이상이 하반기에 이루어져 투자심리 위축에 따른 기업공개(IPO) 시장 부진이 M&A 시장 활성화로 이어진 것으로 사료됨
- 한국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베이스 the VC에 따르면, M&A 거래금액 또한 '21년 3,594억원에서 '22년 3조 2,436억원으로 800%이상 증가하였으며, 전체 금액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3조 2,2228억원이 '22년 하반기에 집행
- '23년 4월 기준 국내 바이오헬스케업 기업 M&A 계약 체결 건수는 총 6건이며, 셀트리온, SK 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등 국내 주요 대기업 계열 바이오 기업들 역시 연내 M&A를 추진할 계획임을 발표
○ 한편, 정부는 '제 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3.3)' 을 통해 M&A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제약바이오 메가펀드 조성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비계열사 간 합병 시 합병가액 산정 자율화 등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합병 관련 규제 또한 완화될 것으로 전망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