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Insights] 2023-2호_글로벌 유전자치료제 시장 동향

  • 등록일2023-09-08
  • 조회수398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Insights] 2023-2호

글로벌 유전자치료제 시장 동향

 

◈ 목차

1. 시장보고서 개요

2. 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및 향후 전망

3. 주요 기업 평가

4. 요약 및 시사점

5. 참고자료

 

 

◈본문


1 시장보고서 개요


❖ 유전자 치료제 정의 및 시장 범위

⊙ (정의) 세포의 유전적 구성을 변경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거나 손상된 유전 물질을 대체 또는 복구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치료 기술'로 정의

⊙ (시장 범위) 스파크 테라퓨틱스의 럭스터나(Luxturna, RPE65 돌연변이 유발 실명 치료제) 및 노바티스의 킴리아(Kymriah, 키메라항원수용체 T 세포치료제)와 같은 제품을 유전자치료제로 시장 범위에 포함

※ 마이크로시장은 추가 분야로 유전자치료제 시장에 포함

⊙ 시장 포함 요소 및 제외 요소

시장 포함 요소 및 제외 요소


2 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및 향후 전망


❖ 글로벌 유전자치료제 시장

⊙ 2020년 5,786.8백만 달러(한화 약 7조6,531억원)에서 2027년까지 17,150.7백만 달러(한화 약 22조6,818억원)에 이를 것으로예상(연평균 성장률(CAGR) 18.6%)

※ (시장 증가 요인) 암 및 기타 질병의 높은 발생률, 제품 출시 증가, 유전자치료제 연구에 대한 자금 유입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시장이 크게 성장하였으나, 높은 치료 비용과 대체 치료법 증가로 인해 시장 증가율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

글로벌 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 벡터유형별* 시장

⊙ 비바이러스성 벡터 기반 유전자치료제 시장은 2022년 6,792.2백만 달러(한화 약 8조9,826억원)에서 2027년 15,838.4백만 달러(한화 약 20조9,462억원)로 성장 (연평균성장률 18.5%)

• 바이러스성 벡터 기반 유전자치료제 시장은 2022년 504.5백만 달러(한화 약 6,672억원)에서 2027년 1,312.3백만 달러(한화 약 1조 7,355억원)로 예상 (연평균성장률 21.1%)

* 벡터 기반 유전자치료제 시장은 ①바이러스성 및 ②비바이러스성 벡터 분류

※ 본 보고서 범위에는 비바이러스성 벡터에 비바이러스성 벡터에는 naked RNAi, 플라스미드 및 화학 기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포함되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기반 유전자치료제가 시장에 크게 보급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힘

 벡터별 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