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핀란드 바이오의약품 시장동향
- 등록일2023-10-11
- 조회수200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3-10-10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핀란드#바이오#제약
핀란드 바이오의약품 시장동향
◈본문
핀란드의 높은 고령화는 노인성 만성질환에 효능이 좋은 바이오의약품 수요 견인
정부의 약값 지출 부담에 따른 정책 리스크도 상존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면역물품 (일정 투여량의 것) (소매용 포장의 것)
HS Code: 3002.15
시장 규모 및 동향
해외시장조사 기관인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에 따르면, 2022년 핀란드 의약품시장 규모는 34억1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2% 감소했다. 하지만, 유럽에서 세 번째로 높은 고령화율 등에 따른 치료 수요 증가로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성장률은 6.4%로 앞으로 시장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이다.
그 중에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성장이 더 빠른 시장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의료전문컨설팅기업인 IQVIA에서 2022년 발간한 '유럽 내 바이오시밀러 경쟁의 영향(The Impact of Biosimilar Competition in Europe)'에 따르면, 유럽 내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의약품 시장의 35%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성장률도 11.3%으로 전체 의약품 시장의 6.3% 대비 5%p를 상회하는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
핀란드는 EU에서 고령화율이 세 번째로 높을 뿐만 아니라 고령화 속도도 세 번째로 빠른 국가이다. 2022년 65세 이상의 인구 비중은 23.1%이며, 지난 10년간 고령화 비중은 5.0%p 증가했다. 이에 따라, 당뇨, 자가면역질환, 암 등 노인성 만성질환의 치료제로 효과가 높은 바이오의약품의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
<핀란드 의약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2022(추정) | 2023(전망) | 2024(전망) | 2025(전망) | 2026(전망) | |
매출액 | 3,411 | 3,627 | 3,861 | 4,125 | 4,372 |
성장률 | -3.2 | 6.3 | 6.5 | 6.8 | 6.0 |
[자료: EUROMONITOR]
최근 수입동향
바이오의약품이 포함된 HS Code 3002.15(면역물품)의 핀란드 수입액은 2022년 3억5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7% 감소했다. 이는 2021년 수요가 일시적으로 늘었던 코로나 진단기기 등의 수입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EU 역내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이 주를 이루고 있어, 상위 10개국 중 중국을 제외한 9개 나라들이 모두 EU 국가들이다. 벨기에(25.7%), 독일(21.2%), 덴마크(15.8%), 네덜란드(14.7%), 스위스(13.4%) 등 상위 5개 국가가 전체 수입액의 90.8%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7만1000달러로 전년 대비 99.5% 감소했다. 이는 면역물품에 해당하는 코로나 진단기기의 수입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다만, 한국의 주요 바이오의약품 업체들이 유럽 내 법인을 통해 핀란드 시장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실제 점유율은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3년 핀란드 바이오 헬스 완제의약품 (HS Code 3002.15)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명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전체수입액 | 357,115 | 4.7 | 392,710 | 10.0 | 354,574 | -9.7 | |
1 | 벨기에 | 83,033 | -17.6 | 102,822 | 23.8 | 91,196 | -11.3 |
2 | 독일 | 78,305 | 11.2 | 75,094 | -4.1 | 75,270 | 0.2 |
3 | 덴마크 | 74,572 | 198.4 | 71,039 | -4.7 | 56,138 | -21.0 |
4 | 네덜란드 | 33,409 | -6.4 | 43,814 | 31.1 | 52,128 | 19.0 |
5 | 스위스 | 38,381 | -11.7 | 41,203 | 7.4 | 47,345 | 14.9 |
6 | 헝가리 | 6,183 | -71.0 | 10,244 | 65.7 | 9,077 | -11.4 |
7 | 폴란드 | 4,811 | 145.4 | 6,972 | 44.9 | 7,296 | 4.7 |
8 | 프랑스 | 3,230 | 138.6 | 4,333 | 34.2 | 6,905 | 59.4 |
9 | 스웨덴 | 3,076 | -19.4 | 6,318 | 105.4 | 3,989 | -36.9 |
10 | 중국 | 3,828 | N/A | 3,631 | -5.1 | 3,353 | -7.7 |
16 | 한국 | 1,094 | 211.8 | 14,350 | 1,211.8 | 71 | -99.5 |
[자료: Global Trade Atlas]
유통구조 및 주요 경쟁 제품
핀란드는 불법복제약의 유통을 막기 위해 까다로운 유통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의약품 유통은 단일공급원칙(one-channel principle)이 적용되며, 모든 도매상은 핀란드 의약품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단일공급원칙은 약국 또는 병원은 하나의 도매상으로부터만 의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핀란드 제약산업협회에 따르면, 핀란드 내 의약품 유통은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약국은 처방약과 셀프케어 약품에 대한 소매 유통책임을 진다.
* 병원 약국 또는 조제실은 병원과 진료기관에 있는 공공 헬스케어 제약서비스를 제공한다. 조제실은 민간병원에도 설립될 수 있다. 핀란드에는 총 25개의 병원약국이 있으며, 110여 개의 조제실이 있다. 재택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대부분 외래약국을 통해 의약품을 구매한다.
* 군 약국은 방위군, 국경수비대, 평화유지군에 의약품 서비스를 책임진다.
* 국가백신 프로그램에 포함된 백신은 의료시스템에서 무료로 제공되며, 다른 의약품들은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 수의과용 의약품은 도매상으로부터 약국 또는 수의사한테 직접 판매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