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국내 담배시장 및 담배 제품 변화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과제
- 등록일2023-11-02
- 조회수2471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10-26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담배시장#담배 제품 변화#과제
- 첨부파일
국내 담배시장 및 담배 제품 변화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과제
이성규, 김예정, 김진영, 박수잔, 조성일
한국담배규제연구교육센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민건강증진연구소,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본문
초 록
담배 제품은 빠르게 변하고 있는데 ‘담배=궐련’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담배 제품이 다양해진 만큼 담배규제정책도 변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판매 중인 궐련 외 담배 제품의 종류와 특징, 향후 국내 유입 가능성이 큰 담배 제품에 관한 정보를 다루었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국내 주요 담배제조사의 홈페이지와 공식 소셜미디어 등을 조사하였고, 액상형 전자담배 오프라인 매장 방문 조사를 통해 최근 판매 중인 전자담배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궐련 외 담배 제품 의 시장 진입 및 사용률 증가와 유사하게 궐련 제품에서도 신제품 출시가 지속되고 있었다.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에서 흔히 사용되는 ‘냄 새 저감’, ‘건강에 덜 해로운 담배’ 등의 마케팅 메시지를 활용한 궐련 제품이 판매되고 있었다. 궐련 외 담배 제품으로 담뱃잎을 불에 태 우지 않는 무연담배도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었다. 담배회사는 담배 연기 속 각종 독성물질로 인한 해로움을 연기가 없는 담배 제품 사용 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가열담배 기기장치는 더 쉽게, 더 편리하게, 더 깨끗하게 흡연할 수 있도록 변하고, 가열담 배에 사용되는 궐련 스틱은 맛과 향이 2017년 시장 진입 초기 4가지에서 2023년 13가지로 늘어났다. 액상형 전자담배 기기장치와 액 상 모두 다양해졌고, 한 곳의 액상형 전자담배 매장에서 판매 중인 기기장치는 약 40종, 액상은 200종이 넘었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자들은 액상형 전자담배를 흡입하는 방법, 액상의 니코틴 함량, 액상의 맛과 향 등에 따라 액상형 전자담배 기기장치와 액상을 선택하여 사용 중이었다. 향후 국내 유입이 예상되는 담배 제품은 ‘니코틴 파우치’로 머금는 담배(snus)와 유사하나 담배가루 대신 니코틴 파우더 를 작은 파우치에 넣어둔 형태이고, 해당 파우치를 입 안에 머금고 사용하는 담배 제품이다. 이와 같은 신종담배의 등장은 다중담배 사 용이 많은 국내 흡연자의 담배사용 행태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고, 그 결과로 새로운 건강위해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건강영 향연구 등의 과학적 근거 창출을 통해 규제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서 론
오늘날 담배 제품(tobacco products)은 다양한 형태로 판 매 및 사용되고 있다. 1980년도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이 80%에 달했는데, 이 당시 담배 제품은 궐련(cigarette)이 전부 였다. 이에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궐련’이 곧 ‘담배’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Euromonitor의 2019년 국내 담배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까지도 국내 담배 시장의 99%를 궐련이 차지했다. 그렇지만, 2023년 현재 궐련 외 다양한 담배 제품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정부, 정치 권, 학계, 그리고 대다수 국민은 여전히 ‘담배=궐련’이라고 인 식하고 있다.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2008년 액상형 전자담배, 2017년 가열담배(궐련형 전자담 배)의 국내 시장 진입으로 담배 제품이 다양해졌고, 이에 따 라 흡연자의 흡연행태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궐련 자체도 신제품 출시를 통해 전자담배처럼 냄새가 적고, 건강에 덜 해롭다고 마케팅되고 있다. 가열담배, 액상형 전 자담배는 흡연을 더 용이하고 편리하며 깨끗하게 할 수 있도 록 기기장치와 궐련 스틱이 출시되고 있고, 맛과 향도 그 종 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니코틴 파우치’라는 새로운 형태 의 담배 제품도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③ 시사점은? 변화하는 담배 제품에 맞는 담배규제정책, 금연지원서비스 개발을 위해서 담배 제품과 담배 사용행태 변화를 체계적으 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
우리 사회와 정부는 흡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 력을 펼쳐왔다. 1980년 80%의 높은 남성 흡연율, 1990년 대 다국적 담배회사의 국내 담배 시장 진입과 이로 인한 담배 회사 간 치열한 시장경쟁으로 10대, 20대 남녀 흡연율이 상 승함에 따라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을 통해 금연 정책 을 펴고, 흡연의 위험성을 지속해서 국민에게 알려왔다. 우 리나라뿐 아니라 비슷한 시기 국제사회에서도 흡연 문제 해 결을 위한 노력이 추진되었고, 그 결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이 2005년 2월 국제 협약으로써 효력을 가지게 되었다. WHO FCTC는 담배사용 (tobacco use)으로부터 전 인류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 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협약 당사국은 이 방법론 을 자국 내 공중보건정책에 적용함으로써 담배사용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5 년 5월에 이 협약을 비준(ratification)하고 협약 당사국으로서 협약 내 권고사항을 국내법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해왔 다. 그 결과, 2005년 담뱃세 500원 인상, 2008년 실내 금역 구역 확대, 2015년 담뱃세 2,000원 인상 및 금연지원서비스 전국 확대, 2016년 담뱃갑 경고그림 도입 등 의미 있는 담배 규제정책을 시행하였다.
흡연에 관한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으로 바뀌고, 국제사회 가 힘을 모아 담배규제정책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담배 제품과 산업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담배회사 내부 문건에 따르면 담 배회사는 오래 전부터 흡연으로 인한 건강 폐해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기술개발을 시도했고, 이러한 담배회사 활 동의 대표적인 사례가 담배 필터이다. 필터에 숯을 넣어서 담 배 연기 속 독성물질을 숯 필터가 걸러준다는 개념으로 이런 기술이 적용된 궐련 신제품을 개발 및 홍보하였다. 그림 1은 Liggett & Myers 담배회사의 1960년 Lark 제품 광고이고 필 터에 숯을 추가해 담배연기 속 독성물질을 숯 필터가 걸러주 기 때문에 일반 궐련제품에 비해 건강에 덜 해롭다고 광고하고 있다. 또한 저타르, 저니코틴 궐련 제품을 개발해 금연 시도를 고민하는 흡연자들을 저타르, 저니코틴 궐련 제품으로 이동하게 만드는 전략을 사용해왔다. 그림 2는 저타르, 저니 코틴 담배 제품으로 교체하면 건강에 덜 해롭다는 인식을 심 어주는 광고 사례이다.
그림 1. 숯 필터를 이용한 ‘덜 해로운 담배’ 광고 Reused from Stanford Research Into the Impact of Tobacco Advertising (https://tobacco.stanford.edu/cigarettes/filter-safetymyths/classic-filters/#collection-1).
그림 2. 금연 대신 저타르, 저니코틴 담배로 교체하라는 광고 Reused from Stanford Research Into the Impact of Tobacco Advertising (https://tobacco.stanford.edu/cigarette/img7317/).
궐련에 필터를 넣고 저타르, 저니코틴 궐련을 개발하는 것 을 넘어서 궐련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니코틴전달장치(nicotine delievry system)가 개발되었고, 그 결과 2003년 액상형 전자 담배(electronic cigarette, e-cigarette) 혹은 전자식니코틴전달장치(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 ENDS)가 개발되었 다. 궐련을 흡연하면 니코틴뿐 아니라 담뱃잎이 연소되는 과 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독성물질이 인체에 유입되는데 이와는 달리 액상형 전자담배는 연소과정 없이 담뱃잎에서 니코틴만 추출해 전자장치를 통해 흡입하는 담배 제품이다. 또한 2015 년 한 다국적 담배회사에서 전자장치를 이용해 담뱃잎을 연소 하지 않고 가열하여 흡연할 수 있는 가열담배(heated tobacco product, 혹은 궐련형 전자담배)를 개발하여 판매를 시작하였 다. 그리고 불과 몇 개월 지나지 않아 경쟁업체들도 가열담배 를 빠르게 출시하였다. 액상형 전자담배나 가열담배보다 앞서 서 존재했던 궐련 외 다른 담배 제품으로 머금는 담배(snus), 물담배(water-pipe tobacco), 씹는 담배(chewing tobacco), 코 담배(snuff), 엽궐련(cigar) 등이 있다. 담배 제품이 다양할수록 흡연자에게 다양한 선택지가 주어지므로 금연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유형의 담배 제품이 소비되고 있는 2023년 현재에, 흡연자 대부분이 궐련을 사용하던 시절의 담배규제정 책, 금연 메시지는 그 효과가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모든 종 류의 담배 제품에 대한 사용률을 해마다 조사하는 미국과 달 리 우리나라는 사용률 조차 파악되지 않는 담배 제품도 다수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현행법상 담배제조사 및 수입업자가 어 려움 없이 어떤 종류의 담배 제품이라도 국내로 반입해 판매 할 수 있다. 새로운 형태의 담배 제품이 아무런 제재 없이 국 내 시장에 들어올 수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유입된 신종담배 는 곧바로 사용자를 만들어 내고 중독을 기반으로 한 제품인 만큼 해당 신종담배에 중독된 사용자가 빠르게 늘어날 수 있 다. 결국 신종담배는 하나의 산업을 이루어 이후 규제정책을 추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반대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흡 연, 담배 제품의 위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담배규 제정책이 강화될수록 담배는 바이러스처럼 진화를 거듭할 것 이다. 막대한 자본을 앞세워 담배회사는 산업을 유지할 방법 을 찾을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담배 제품에 관한 정보, 앞 으로 국내 시장에 유입될 수 있는 또 다른 담배 제품에 대해서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 전망 보고서에서는 국내에서 판매 및 사용 중인 궐련 외 담배 제품의 종류 및 특징과 향후 국내 유입 가능성이 예측 되는 담배 제품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였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담배 제품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