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글로벌 시험·검사·인증(TIC) 서비스 시장 분석

  • 등록일2023-11-07
  • 조회수2072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글로벌 시험·검사·인증(TIC) 서비스 시장 분석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 목차

Ⅰ. 시험·검사·인증(TIC) 서비스 개요

Ⅱ. 글로벌 시험·검사·인증(TIC) 서비스 시장 동향

Ⅲ. 글로벌 시험·검사·인증(TIC) 서비스 기업 동향

Ⅳ. 요약 및 시사점

Ⅴ. 참고문헌

Ⅵ. 발간목록

 

 

◈본문

Ⅰ. 시험·검사·인증(TIC) 서비스 개요


⇨︎ 시험·검사·인증(TIC) 서비스 정의 및 범위

 연구개발 또는 생산 과정에서 제품, 서비스 또는 프로세스 대상으로 국내 또는 국제 안전 및 규정 준수에 대한 품질, 신뢰성 및 성능 표준 시험을 통해 국제 표준 준수, 품질 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정의됨

  • ╶︎고품질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제품이 국내·국제 안전 및 규정 준수 확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시험(Testing), 검사(Inspection) 및 인증(Certification) 서비스 제공 및 시험성적서나 검사서, 인증서 등의 발급 이외에 인정(Accreditation)2)서비스를 포함함

  • ╶︎‘22년 주문연구 분야 연구산업 전문연구사업자 중 시험 검사 및 분석 서비스가 전체의 24.2%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주문연구 전문연구사업자 R&D 서비스 유형 현황

<그림 1> 주문연구 전문연구사업자 R&D 서비스 유형 현황

<출처> 2022년도 연구산업 전문연구사업자 활동조사 보고서, 한국연구산업협회

 

 시험(Testing) 서비스는 특정한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 대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성을 규정된 절차에 따라 측정하는 기술적 작업을 말함

  • ╶︎신규 개발 제품 등에 대하여 제작의 적합성, 안전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서비스를 말함

  • ╶︎바이오 분야의 경우 신약 개발 단계에서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수탁기관(CRO, CMO 등)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음

  • ╶︎품질 검증, 개선 등을 위한 신뢰성, 내구성, 수명, 환경, 가속, 한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표 1> 시험(Testing) 서비스 유형

구분

내용

신뢰성 시험

제품의 고장률 및 MTTP(평균 고장 시간) 등 제품의 품질, 제품 동작 및 환경 등을 확인하여 신뢰성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시험

내구성 시험

제품에 가해지는 위해 요소, 시간 경과에 따른 영향 요인 등을 확인하여 제품의 내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수명 시험

특정 조건에서의 제품 마모 및 수명 등에 문제 발생 시점과 수명 분포형 등을 확인하여 제품의 수명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환경 시험

제품 사용환경에 따른 재료·부품 선정 및 제품 설계정보를 확인하여 내부환경적 특성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가속 시험

기존 시험 조건에 대비하여 극한의 환경에서 진행되는 시험으로 온도, 전압, 습도 등의 외부 환경인자를 조절하여 제품에 가해지는 요인을 조절하기 위한 시험

한계 시험

제품 사용 가능한 최대 한계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한계 강도 및 품질 보증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출처>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홈페이지


■ 검사(Inspection) 서비스는 전 산업 분야에서 제품·프로세스·서비스 등의 품질 관리를 목적으로 표준규격을 준수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말함

  • ╶︎제품을 측정, 점검 또는 기준에 맞춰 공정 적합 여부를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양호·불량 또는 합격·불합격의 판정을 내리는 것을 말함

  • ╶︎제품 출시 전 시험 결과 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준규격에 맞춰 준수 여부 등을 판단하며 대표적으로 품질검사가 해당함

  • ╶︎대표적인 품질 관리 검사방법으로는 파괴 및 비파괴 검사법이 있으며, 제품에 대한 품질특성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해 활용함


<표 2> 제품 품질검사 서비스 유형

구분

내용

괴검사

▸제품의 절단, 굽힘, 변형과 같이 파괴한 샘플링을 기반으로 극한 상태에서의 검사를 통해 제품의 높은 신뢰성의 데이터 도출이 가능

▸인장·압축 시험, 크리프 시험, 경도·충격 시험, 피로 시험 등이 해당

파괴검사

▸불량품 도출, 제품 수량 전체 전수검사 등을 진행하는 경우 제품의 손상 없이 제품의 불완전성 등을 조사하여 판단하기 위해 진행되는 검사

▸전수검사, 로트별 샘플링 검사, 관리 샘플링 검사 등이 해당

<출처> KOTITI시험연구원 홈페이지


■ 인증(Certification) 서비스는 시장 내 제품 상용화를 목적으로 규정된 요구사항에 대한 제품, 프로세스, 시스템, 사람 등의 적합 여부를 실증하는 활동을 말함

  • ╶︎제품 인증*(서비스 및 프로세스 포함)은 제품이 계약, 규정 또는 설명서에 명시된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프로세스이며, 개인 인증은 개인의 직무 수행 정당성과 역량 검증 확인 프로세스를 의미함

  • ⁎︎인증기관은 인증서의 발급 및 인증서의 폐기, 갱신, 교체에 이르는 전 과정관리하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인증서 조회 기능을 제공함

  •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가별 통합인증을 기반으로 해당 국가에 수출입 시 필수 조건으로 활용하고 있음

  • ⁎︎’93년 CE 인증(EU), ’02년 CCC 인증(중국), ‘03년 PS 인증(일본), ’09년 KC 인증(한국) 등 국가별 통합인증제도 사용

  • ╶︎KC 인증은 ‘09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를 시작으로 8개 부처* 대상으로 통합하였으며, 안전 인증 및 전자파 인증으로 구분됨

  •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국방부

<표 3> KC 인증 서비스 유형

구분

세분류

주요내용

안전 인증

안전 인증

엄격한 관리가 필요한 제품군에 대하여 제품 심사, 제조공장 심사 등 실시

안전 확인

국가 지정한 안전 인증기관을 통해 제품의 안전 심사 실시

공급자 적합성 확인

공급자 자제 진행 및 민간시험소에서 실시한 제품 시험

전자파

인증

적합 등록

적합 인증 대상이 아닌 방송통신기자재 등을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

적합 인증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기자재와 중대한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받을 정도의 영향을 받는 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

<출처>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홈페이지


■ 연구개발 이후 각국의 규정을 준수하여 제품·서비스 출시·공급을 목적으로 시험·검사·인증을 위한 컨설팅 및 기술 지원 서비스를 자체(인하우스) 혹은 위탁(아웃소싱) 형태로 제공하고 있음

  • ╶︎(인하우스, In-house service) 기업 내부에서 고용한 인력을 기반으로 시험·검사·인증 업무를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말함

  • ⁎︎시험·검사·인증 업무의 효율적인 진행 및 인력 통제 등이 용이하고, 일원화 형태로 진행되어 업무 수행의 연속성이 강화되는 장점

  • ╶︎(아웃소싱, Outsourced service) 시험·검사·인증 등을 진행하기 위하여 전문 역량을 보유한 외부기관(기업)에 위탁하는 형태를 말함

  • ⁎︎시험·검사·인증 서비스를 제공 및 진행을 위해 필요한 장비·인력 확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각 분야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결과 향상 장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