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81]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해외 소비자의 인식 분석(2022년)
- 등록일2023-11-08
- 조회수2260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자료발간일
2023-11-03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헬스#의료서비스#선순환 성장 구조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해외 소비자의 인식 분석(2022년)
[보건산업브리프 Vol. 381]
◈ 목차
I. 서론
Ⅱ. 조사 개요 및 분석의 틀
Ⅲ. 2022년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및 의료서비스 주요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본문
I. 서론
◎ 2022년 기준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액은 242억 달러로 역대 두 번째 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며 수출액이 최근 5년간 13.2% 증가하며 타 산업 대비 높은 수출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또한 우리나라 주요 수출산업 중 10위에서 7위로 실적이 증가하며 주요 수출 유망산업으로 자리매김함
●휴대전화, 반도체, 자동차, 그리고 한식과 K-Pop으로 대표되는 문화컨텐츠까지 우리나라의 수출 품목은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한국에 대한 인식 및 수요조건도 변화하고 있음
╶︎바이오헬스 산업은 개인의 건강과 생명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 인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조사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다른 산업에 비교하여 더 크게 작용하며, 제품과 제조사에 대한 인지를 넘어 어떤 국가의 기업인지에 대한 제조국에 대한 신뢰까지도 바이오헬스 제품에 대한 중요한 구매 요인으로 작용함
◎ 바이오헬스 제품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가장 밀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거주 국가, 연령, 경제적 요인, 건강상태 등 소비자들의 특성이 바이오헬스 제품의 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 한국바이오헬스 제품의 산업별 수출 상위 국가를 대상으로 해당 국가의 바이오헬스 제품 소비자들 의 수요와 구매 요인 등을 마케팅 조사(Marketing research)의 관점에서 조사를 설계하고 국가별 소비자들 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국가별 마케팅 전략에 활용하고자 함
◎ 아울러 한국의 바이오헬스 제품과 의료서비스 간에 동일 국가 내에서 소비자들의 인식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바이오헬스 제품과 의료서비스 간의 상관관계 및 각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도 분석하고자 함
●이를 통해 해외에서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제품과 의료서비스 간에 선순환 성장 구조에 필요한 전략을 수립 하고 바이오헬스 제품 및 의료서비스의 패키지형 해외진출에 기여할 수 있을것임
Ⅱ. 조사 개요 및 분석의 틀
■ 조사 목적
◎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의 변화속에서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위치를 파악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해외에서의 긍정·부정적인 인식과 그리고 여기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음
●조사의 목적은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제품에 대한 해외 일반 소비자와 산업 전문가의 인식도 그리고 경쟁국가와의 포지셔닝을 통하여 주요 해외시장에서의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자 하는 것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별 맞춤화된 수출 및 해외진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그림 1] 조사 배경 및 목적
■ 조사 대상국
◎ 조사 대상 국가는 한국의 바이오헬스 제품 및 서비스의 산업별 주요 수출 대상국을 중심으로 대륙별 분포와 인구수, 경제규모 등을 반영하여 19개 국가를 선정한 후, 해당국가별로 대표적인 도시 25개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함
●조사 국가는 산업별 한국의 바이오헬스 제품 수출 상위 및 한국 의료기관 진출/환자유치 실적 상위 국가를 대상으로 1차 선정하였고, 산업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략적 진출 거점국가(권역별)와 해당 국가의 핵심도시를 고려하여 조정함
<표 1> 조사 대상 및 방법
구분 | 내용 |
조사 대상국 | 19개국 국가, 25개 도시 |
조사 대상자 | 국가별 국민(일반 소비자) 9,120명, 산업・의료계 전문가 365명 |
조사 방법 | 온라인 조사 |
조사 내용 |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의료서비스 사용 행태, 바이오헬스 제품(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의 인지도・선호도, 기타 한국 호감도 및 경쟁력 관련 문항 등 |
조사 기간 | 2022.10.27. ~ 2022.11.22. (국가별 약 3주) |
표본 오차 | 95% 신뢰 수준, ⩲︎1.03%p (무작위추출 전제) |
주관/조사업체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유) 닐슨아이큐코리아 |
■ 조사 대상자
◎ 조사 대상자는 일반 소비자와 전문가로 구분하여 표본 추출하고, 산업별로 한국제품의 사용 유무를 응답자의 특성을 구분하는 변수로 설정함
●일반 소비자는 산업별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19개국 25개 도시에 거주하는 15세(화장품) 및 18세 이상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의 성인 남녀 9, 120명이 응답하였으며, 선정기준으로는 최근 6개월 한국 의약품, 의료기기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자. 최근 일주일간 2회 이상 한국 화장품 이용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 으로 함
●산업별 전문가는 365명이 응답하였으며, 의료계는 의사, 간호사, 약사, 의료기사, 의료기관의 2년 이상 종사 자로 선정하였고, 산업계는 제조(생산), 유통, 관련 사업체 2년 이상 종사자로 선정함
<표 2> 응답자의 선정 기준
구분 | 일반소비자 | 전문가 | |
산업계 | 의료계 | ||
의약품 | 최근 6개월 내 의약품을 직접 구매하거나 의사의 처방을 받아 구매하여 이용한 경험이 있는 만 18세 이상 남녀 | 의약품/의료기기 사업체 제조/유통 관련직, 벤더사 등 2년 이상 종사자 | 의사, 간호사, 약사, 의료기사, 의료계 연구원, 의료기관 일반직 등 2년 이상 종사자 |
의료기기 | 최근 6개월 내 의료기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만 18세 이상 남녀 | ||
화장품 | 최근 1주일간 2회 이상 화장품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만 15세 이상 남녀 | - | B2B/B2C 전문 화장품 사업체, 벤더사 등 2년 이상 종사자 |
의료서비스 | 만 18세 이상 남녀 | - | 의사, 간호사, 약사, 의료기사, 의료계 연구원, 의료기관 일반직 등 2년 이상 종사자 |
◎ 조사를 위한 문항 및 분석 틀은 일반소비자는 제품/서비스에 대한 소비환경 및 이용 실태,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에 대한 인식 측정을 위한 변수를 설정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 문항과 함께 제조업 및 의료서비스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문항으로 설정함
●응답자의 특성은 바이오헬스 제품/서비스의 이용행태, 한국에 대한 인식,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서비스에 대한 인지 및 선호도 문항으로 구성함
●제조업은 산업별로 다른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질환 유무에 따른 제품 사용 여부와 사용 빈도, 구매경험 등을 응답자의 특성 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