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도 세계 R&D 투자 상위 기업 현황

  • 등록일2023-12-04
  • 조회수2321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2021년도 세계 R&D 투자 상위 기업 현황

 

◈ 목차

1. 개요

2. 총괄 현황

3. 산업 부문별 현황

4. 한국 현황

 

 

◈본문

[요약]


⇨︎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전 세계 경쟁국과 EU의 혁신 주도 산업 성과를 비교하고, 이를 위한 기업 R&D 투자 DB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EU R&D Scoreboard」(이하 ‘Scoreboard’)를 발표

  • 매년 EU 지역의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을 조사하여 발표하며, 전 세계 투자 상위 기업도 조사

  • 2022 Scoreboard에서는 ’21/’22년도 세계 R&D 투자 상위 2,500개 기업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

⇨︎ ’21년도 투자 상위 2,500개 기업의 R&D 투자액은 전년 대비 14.8% 증가한 1조 939억 유로(전년 대비 증가율 6.0%)

  • 전 세계적으로 민간 부문 R&D 투자가 COVID-19 이전 수준을 크게 상회함

  • ’04년 EU에서 R&D Scoreboard를 발간한 이후 처음으로 1억 유로를 넘어섬

⇨︎ 미국이 40%로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이 뒤를 이어 17.9%

  • 중국의 상위 기업 R&D 투자가 처음으로 EU의 투자 규모를 상회함

  • 한국은 3.2%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아시아에서는 중국(17.9%), 일본(10.4%) 다음에 위치

  • R&D 투자 상위 기업 1위는 알파벳(미국)이며, 상위 50위에 ICT 기업이 크게 증가

⇨︎ 전체 기업 투자의 3/4 이상이 ICT 생산(22.6%), 의료 산업(21.5%), ICT 서비스(19.8%), 자동차 및 기타 운송 수단(13.9%)에 집중

  • 이러한 현상은 언급된 4개 핵심 부문에서 글로벌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

⇨︎ 자동차 부문은 EU에서 가장 많은 연구개발 투자가 이루어지는 부문으로,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

  • 전 세계 연구개발 투자의 1/3을 차지하고 있으며, EU 내 기업들은 자동차 부문에 40% 이상 투자

  • 자동차 산업은 ① 화석연료에서 전기로의 동력원 전환, ②자동차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디지털 전환이라는 변화에 직면해 있음

⇨︎ 반도체는 전자 기기의 필수 구성 요소로, 반도체 제조의 중심이 아시아(한국・대만・중국)로 이동

  • 1990년에는 반도체 제조 시장의 44%를 EU가, 37%를 미국이, 19%를 일본이 점유했지만, 2020년 기준 대만이 22%, 한국이 21%, 중국이 15%를 점유하고 있음

  • 현재 반도체 산업에서 칩의 설계는 미국 기업이, 반도체 제조는 대만과 한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EU는 칩의 설계와 반도체 제조 관련하여 소수 기업만 보유하고 있는 상황임

⇨︎ 상위 2,500위 내 한국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지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율은 둔화

  • 2019년까지 한국 기업의 연구개발비 증가율은 5%를 상회하였으나, 2020년 이후에는 1~2%대로 둔화


1. 개요


⇨︎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전 세계 경쟁국과 EU의 혁신 주도 산업 성과를 비교하고, 이를 위한 기업 R&D 투자 DB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EU R&D Scoreboard」(이하 ‘Scoreboard’)를 발표

  • EU의 Joint Research Center는 매년 각 기업의 회계보고서를 토대로 전 세계 기업의 R&D 투자 현황을 조사

⇨︎ 「EU R&D Scoreboard」는 기본적으로 EU 지역의 R&D 투자 기업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구성되나, 성과 비교를 위해 전 세계의 주요한 R&D 투자 기업도 조사 대상에 포함

∙매년 EU 지역의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을 조사하여 발표하며, 전 세계 투자 상위 기업*도 조사

  • ⁎︎Scoreboard 포함 기업 수 : (’12년)1,500개 → (’13년)2,000개 → (’14년)2,500개

  • 2022 Scoreboard에서는 ’21/’22년도* 세계 R&D 투자 상위 2,500개 기업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

  • ⁎︎대다수 기업의 회계연도가 ’21년이지만, 일부 기업의 회계연도가 ’22년 3월이기에 본고에서는 ‘22년 3월까지 포함하여 ’21년으로 기재(원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보고서 연도로 기재 중, 예: 2022 Scoreboard)

  • ’21년 2,500개 기업 중 EU 지역 내 기업은 361개, 미국 기업은 822개, 중국 기업은 678개, 일본 기업은 233개, 한국 기업은 53개 포함

<표 1> 2021년도 세계 R&D 투자 상위 2,500개 기업 및 국가별 연구개발비 분포현황

EU국

기업 수

(괄호는 2020년)

연구개발비

비 EU국

기업 수

(괄호는 2020년)

연구개발

독일

114(124)

91.03

미국

822(779)

439.7

프랑스

57(66)

28.78

중국

678(597)

1495.9

네덜란드

38(34)

24.08

일본

233(293)

113.8

스웨덴

26(34)

11.50

스위스

55(57)

34.9

아일랜드

24(27)

8.28

한구

53(60)

34.3

덴마크

25(29)

7.14

영구

95(105)

32.8

핀란드

12(15)

5.30

대만

84(86)

24.8

이탈리아

20(21)

5.21

인도

24(25)

5.6

스페인

12(14)

4.48

캐나다

28(26)

5.2

벨기에

12(13)

3.11

이스라엘

22(21)

4.1

오스트리아

13(14)

2.04

오스트레일리아

10(11)

3.1

룩셈부르크

3(4)

1.25

싱가포르

7(6)

1.6

포르투갈

2(2)

0.18

노르웨이

9(11)

1.4

헝가리

1(1)

0.17

사우디아라비아

1(1)

0.9

슬로베니아

1(1)

0.15

브라질

4(5)

0.5

몰타

1(1)

0.06

기타

14(9)

2.5

EU 합계

361(401)

192.8

비 EU 합계

2,139(2,099)

901.1


⇨︎ 이번 호에서는 「2022 R&D Scoreboard」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계 R&D 투자 상위 기업 현황과 한국의 기업현황을 분석

  • 세계 R&D투자 상위 2,500대 기업을 중심으로 한 세계 현황과 2022 Scoreboard에 포함된 53개 한국 기업 현황을 분석

  • ⁎︎본문의 표, 그림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이상 「2022 EU R&D Scoreboard」 보고서 내 자료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