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23년 식품R&D 중점투자분야 동향보고서] 생분해 플라스틱 식품포장재 시장 및 기술 동향보고서
- 등록일2023-12-06
- 조회수254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자원
-
자료발간일
2023-11-30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분해성 플라스틱#바이오기반#식품포장용#생분해성 고분자 기술
생분해 플라스틱 식품포장재 시장 및 기술 동향보고서
[2023년 식품R&D 중점투자분야 동향보고서]
◈ 목차
01. 과제 개요
1.1 목적 및 특성
1-1-1. 과제의 목적
1-1-2. 특성
1.2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의 필요성
1-2-1. 플라스틱 시장규모
1-2-2. 폐플라스틱 증가
1-2-3. 미세플라스틱
02. 생분해성 플라스틱 동향
2.1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개요
2-1-1. 개념
2-1-2. 분류 및 특성
2-1-3. 용도
2.2 생분해성 플라스틱 종류 및 제조방법
2-2-1. 바이오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2-2-2. 석유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03.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동향
3.1 식품포장용 소재 기술개요
3-1-1. 식품포장용 소재 특성
3-1-2. 식품포장용 소재 기술동향
3.2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시장 동향
3-2-1. 국외 동향
3-2-2. 국내 동향
3.3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기술 동향
3-3-1. 생분해성 고분자 기술
3-3-2. 생분해성 고분자의 한계와 개선 방안
3-3-3.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사례
3.4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정책 동향
3-4-1. 국외 동향
3-4-2. 국내 동향
3.5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특허 동향
3-5-1. 특허검색 개요
3-5-2. 특허 동향
◈본문
1. 과제 개요
1.1 목적 및 특성
1-1-1. 과제의 목적
●(플라스틱 사용 급증)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택배, 배달음식과 같은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면서, 플라스틱 사용량 및 플라스틱 폐기물은 수습 불가능할 정도로 증가했음
╶︎실제로 이마트 온라인몰인 SSG닷컴 조사 결과, 배송 주문 건은 20% 이상 늘었고, 2021년 2월 기준 배달음식 주문량은 2,752만 건으로 전년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음
╶︎UN 세계은행은 2050년이 되면 전 세계 폐기물 발생량이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발표했으며, 2020년 대비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종식 이후 쓰레기 대란이 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음
╶︎우리가 당장 눈앞만을 바라보며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는 일회용품과 플라스틱들이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되어 미래 세대가 짊어져야 할 문제가 되고 있음
1-1-2. 특성
●(비분해성) 플라스틱 쓰레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썩지 않는다’는 것임
╶︎플라스틱은 바다로 흘러가 해류를 따라 한곳에 모여 거대한 ‘플라스틱 섬’을 만들어 해양오염을 유발하며 생태계를 파괴하고, 파도와 해류에 의해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해양 생태계를 파괴함
╶︎해양 생물들이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들을 먹이로 착각하여 섭취하여 소화기관이 막혀 사망하거나, 비닐봉투, 페트병 등에 끼여 죽음을 맞이하게 됨
╶︎심지어 미세플라스틱은 생태계의 먹이사슬 속으로 파고들어 인간들의 식탁에 오르게 되고, 결국 우리의 몸도 오염시키게 됨
●(플라스틱 처리시 유해 물질 생성) 플라스틱은 소각, 매립, 재활용으로 처리되는데, 플라스틱은 소각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유해물질과 온실가스를 배출함
[그림 1-1] 플라스틱 생산과 폐기 과정 및 종류별 온실가스 배출량(2015년)
╶︎202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연간 4.6억 톤의 플라스틱이 제조 및 생산되고 있는데, 현 추세대로라면 2030년엔 플라스틱 생산량이 연간 약 5.5억 톤을 돌파할 것으로 보이며, 플라스틱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도 2015년 1.78Gt에서 2050년 6.5Gt으로 4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매립지 포화) 우리나라의 매립지는 포화 상태이며 쓰레기들이 갈 곳을 잃어 불법으로 버려지고 있음
╶︎설령 플라스틱이 매립된다 해도 땅속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유해가스가 배출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인근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함
●(낮은 재활용 비율) 2018년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2016년도 국내의 재활용률은 58.5%지만, 이 수치는 재활용가능자원 시설에 반입된 플라스틱양을 계산한 것에 불과함
╶︎실제로 재활용제품 생산량을 계산해 본 결과, 실질 재활용률이 20.8%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분리배출된 플라스틱이 모두 재활용되지 않는 실정임
1.2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의 필요성
1-2-1. 플라스틱 시장규모
●(세계 플라스틱 시장규모) 2022년에서 2032년까지의 예측기간 동안 3.7%의 성장률이 예상되며, 현재 평가액인 2022년 6,950억 달러에서 2032년 말까지 약 8,8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현재 2022년 미국 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900억 달러가 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플라스틱 최종 사용 제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아시아 태평양은 44%의 순 점유율로 세계 플라스틱 시장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지역임
[그림 1-2] 플라스틱 시장규모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규모) 세계 시장규모는 2022년 기준 약 59조 원의 규모로 추산되고, 그 중 포장재 재활용 분야의 경우 2019년 기준으로 약 12조 원에 달하며, 국내 시장규모는 2019년 이후 연평균 6% 성장률을 보이며, 2026년 기준 약 2조 6,596억 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플라스틱 종류별 매출 점유율) 폴리에틸렌 제품 부문이 25%에 육박하는 주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화합물 또는 ABS 제품 부분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플라스틱 종류별 시장 규모 및 전망)
╶︎(PET) 세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장 규모는 2023년 2,849만 톤, 2028년 3,551만 톤으로 확대되어, 예측 기간 중 4.5%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됨
╶︎(PE) 세계 폴리에틸렌 시장의 생산량은 2021년 1억 869만 톤에서 2027년까지 1억 3,484만 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며, 세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장 규모는 2021년 5,470만 톤에서 2028 년에는 7,800만 톤에 이르고, 2022~2028년간 5.6%의 CAGR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됨. 또한 현재 전 세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생산량은 2,530만 톤에 달하며, 2019~2024년 동안 전 세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수요는 2~4%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PP) 범용 플라스틱 소재로 식품용기부터 파이프, 의료용품, 내열 가전제품, 자동차부품, 산업자재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1년에 약 7,000만 톤에 달하며, 2030년까지 5.48%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PS) 세계의 폴리스티렌 시장 규모는 2021년에 약 1,000만 톤에 달하며, 2030년까지 3.79%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PVC) 세계의 폴리염화비닐 시장 규모는 2021년에 약 4,200만 톤에 달하며, 2030년까지 4.71%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사출 성형 적용 부문은 전 세계 매출의 거의 43%를 차지하며 플라스틱 시장 점유율에서 가장 큰 응용 분야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